북측은 15일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명의의 통지문을 보내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식에 남측 통신사 1곳과 방송사 1곳을 초청한다고 알려왔다.
판문점을 통해 통일부로 전달된 통지문에서 북한은 “5월 23일부터 25일 사이에 진행되는 북부 핵시험장 폐기의식에 남측 1개 통신사와 1개 방송사의 기자를 각각 4명씩 초청한다”고 밝혔다.
이어 “초청받은 기자들은 중국 주재 북한대사관에서 사증을 받고 22일 베이징에서 전용비행기로 다른 외국 기자단과 함께 원산 갈마비행장에 도착할 것이며 원산에서 숙소 및 기자센터를 이용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원산에서 북부 핵시험장까지 열차로 가게 되며 현지 취재 촬영 후 원산 기자센터를 이용해 송고하고 26일이나 27일 갈마비행장에서 전용기로 귀환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초청된 기자들의 여비와 체류비, 통신비를 비롯한 모든 비용은 자체 부담”이라고 덧붙였다. 통일부는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필요한 조치를 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북한은 이날 남북 고위급회담 제안도 했다. 남북 정상이 합의한 4·27 판문점 선언의 이행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16일 고위급회담이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열린다. 판문점 선언에 포함된 철도 연결 사업 등이 논의될 전망이다. 북한은 철도성 부상을 대표단 5명에 포함시켰다
통일부는 “남과 북은 판문점 선언 이행 방안 협의를 위한 고위급회담을 16일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개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고위급회담은 지난달 27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판문점 선언에 합의한 이후 처음으로 남북이 후속 조치를 논의하기 위해 만나는 자리다.
우리 측은 조명균 통일부 장관을 수석대표로 5명 내외의 대표단을 꾸릴 방침이다. 북측 대표단은 이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이 단장을 맡았고 김윤혁 철도성 부상, 원길우 체육성 부상, 박용일 조평통 부위원장, 박명철 민족경제협력위원회 부위원장이 포함됐다.
김 철도성 부상과 박 부위원장이 대표단으로 나선 점이 눈길을 끈다. 판문점 선언에 들어 있는 동해선 및 경의선 철도 연결을 비롯한 경제협력 관련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남북은 이번 고위급회담을 통해 장성급 회담과 8·15 이산가족 상봉 행사 준비를 위한 적십자회담 일정 등도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또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공동 참가도 의제로 다루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청와대와 정부, 여당은 이날 서울 삼청동 국무총리 공관에서 고위 당정협의회를 열고 남북 정상회담 후속조치로 남북 산림협력과 6·15 남북공동행사를 우선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관련 부처에 각각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6·15 남북공동행사가 판문점에서 열릴 가능성도 거론된 것으로 전해졌다.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수석 대변인은 고위당정협의회를 마친 뒤 “판문점 선언을 구체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속도감 있게 후속조치를 진행하기로 했다”며 “당장 당면한 이행 방안을 중심으로 정부가 TF를 꾸려 주도면밀하게 추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판문점 선언의 국회 비준은 정쟁의 소재가 되지 않도록 충분한 논의를 거쳐 관련 절차를 진행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다만 남북 경제 협력에 대해서는 “너무 성급한 논의가 되지 않도록 속도를 자제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도 나왔다”고 박 대변인이 전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