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리에 거주하는 주부 A(56세)씨는 요즘 친구들과 등산을 자주 갔다. 등산을 하면 기분도 맑아지고, 평소 앓고 있던 골다공증 증상도 완화되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느 날부터 갑자기 허리가 아프기 시작하더니 몸을 움직이기가 힘들어지며 어깨까지 통증이 오기 시작했다. 심각성을 느낀 A씨는 정형외과를 찾았고 '척추 압박골절'을 진단받았다.
A씨의 사례처럼 골다공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보통 척추 압박골절, 고관절이나 손목뼈의 골절 등 다른 부위의 골절도 잘 일으키고는 한다. 골절이 발생하기 전 평소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 따로 검사를 하지 않으면 알아차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A씨의 경우는 평소 골다공증만 앓고 있어 척추 압박은 전혀 신경을 쓰지 못하고 무리하게 등산을 하며, 야외활동을 많이 하고는 했었다.
정확히 척추 압박골절이란 척추뼈가 부러지는 골절의 한 종류로 척추뼈가 수직방향으로 납작하게 압축되는 골절을 말한다.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등 외부의 큰 충격에 의해 생기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상적인 활동만 해도 발생하고는 한다. 심지어 저절로 생기는 경우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저절로 생기는 압박골절은 특히 골다공증이 있는 고령층에서 많이 발생한다.
척추 압박골절 진단을 받았을 때의 치료법으로는 침상 안정 및 약물치료를 통한 통증 조절이 이 진행된다. 만약 안정을 취한 후에도 통증이 심해진다면 척추체 시멘트 성형술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후에도 척추가 계속 주저앉는 다면 수술 나사못 고정술을 통해 척추를 고정해 주는 치료법 등이 있다.
이에 구리 참튼튼병원 척추외과 김상신 원장은 "골다공증이나 이로 인한 압박골절은 평소 예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좋은데 만약 무시고 지낸다면 고통과 오랜 기간 누워 지내야 해 시간적 손실이 따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일반적으로 치료시기를 놓친다면 장기 입원과 그에 따르는 간병비, 병원비, 경우에 따라 수술비 등이 필요해 예방에 드는 비용보다 수 십 배 더 큰 부담"이라며, "자신의 증상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숙련된 경험으로 치료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