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시민에게 어떻게 총을 쏴” 신군부 명령 거부한 경찰관

입력 2018-05-15 06:14
고(故) 안병하 치안감. KBS 방송화면 캡쳐

1980년 5·18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신군부의 발포 명령을 거부하고 시민들을 보호하려다가 순직한 경찰관들이 있었다.

14일 광주에서 38년만에 이들의 추모 행사가 열렸다. 알아도 모른 척 침묵해야 했던 수 십 년의 세월 끝에 비로소 이들의 죽음이 세상에 전해졌다.

당시 전남도 경찰국장이었던 고(故) 안병하 치안감은 신군부의 발포명령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아내 전임순씨는 당시 남편의 괴로움을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전씨는 “남편은 시민들에게 총을 쏠 수 없어 명령을 듣지 않았다”면서 “군인들도 너무 지나치다고 말했다”고 털어놨다.

안 치안감이 남긴 비망록에는 당시 상황이 고스란히 담겨있었다. 그는 혼란의 원인을 과격한 진압으로 인한 유혈사태, 악성 유언비어 등으로 봤다.

시위를 제지할 때 설령 경찰의 희생이 있더라도 시민 희생자는 절대 나오면 안된다고 강조키도 했다. 부상당한 시위대를 치료하기도 했다.

명령에 불복종한 안 치안감은 이후 직위를 해제당한 뒤 고문을 당했다. 끝내 후유증에 시달리다 숨을 거뒀다.

이밖에 고(故) 정충길 경사를 포함해 강정웅, 이세홍, 박기웅 경장 등 4명은 경찰저지선을 지키다 버스에 들이받혔다. 군과 시민 사이에서 큰 사고를 막기 위해 목숨 걸고 시위대를 지켜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