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주한미군 문제는 북·미 정상회담의 의제가 될 수 없음을 분명히 했다.
강 장관은 1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열린 한·미 외교장관 회담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주한미군과 같은) 동맹 이슈는 동맹 사이에서 다뤄질 일이지 북한과 다룰 일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회담에서 주한 미군 감축 논란과 관련한 논의가 있었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주한미군은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를 위해 결정적 역할을 해왔고 어떤 감축 논의도 정상회담 의제가 돼선 안 된다고도 강조했다. 최근 논란이 된 주한미군 감축설이나 북·미 정상회담 의제 가능성을 강 장관이 직접 나서 일축한 것이다.
이날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북한 비핵화 문제와 관련해 “궁극적인 목표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북한과) 완전한 합의가 이뤄졌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 원칙(CVID)’ 다시 한번 강조했다. 지난 9일 방북, 억류된 한국계 미국인 3명과 함께 돌아온 폼페이오 장관이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완전한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에 접근했음을 드러낸 것이다.
방북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만남에 대해 폼페이오 장관은 “김 위원장과의 대화는 따뜻하고, 건설적이었다”며 “북한이 영구적이고 검증가능한 방식으로 핵무기를 제거한다면 미국도 북한을 돕겠다는 뜻을 분명히 전했다”고 말했다. 미국이 원하는 CVID를 북한이 받아들이고, 미국은 북한에 체제 안전 보장을 약속하는 빅딜이 있었음을 시사한 것이다.
강 장관도 이번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역사적인 기회”라며 “앞으로 몇 주가 한·미 간의 긴밀한 의견 조율이 필요한 결정적인 시기가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북·미 정상회담에 앞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의 상호교감이 중요할 전망이다. 강 장관과 폼페이오 장관의 외교장관 회담으로 한·미 정상회담의 물밑 작업도 마무리된 모양새다. 한·미 정상회담은 오는 22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