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괴물 같은 세월호가 드디어 바로서기에 성공 했네요.”
권혁규·재규 부자의 형이자 큰아버지인 권오복(63)씨는 10일 전남 목포신항에서 4년 만에 처참한 모습으로 바로 세워 진 거대한 세월호를 보며 가슴 속에 묻어 둔 소회를 쏟아냈다.
그는 “늦었지만 이제는 미수습자 5명을 다 찾아서 수습을 해야 한다. 동생과 조카를 찾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밤잠을 설쳤다”고 했다.
이어 “세월호가 바로서기까지 아낌없는 후원과 응원을 보내주고 뜨거운 관심을 가져준 모든 분께 감사하다”는 인사도 전했다.
세월호 희생자 가족들은 이날 오전 6시30분쯤부터 노란색 점퍼를 입고 하나둘씩 목포신항 북문 주변으로 모여들었다.
세월호 직립 작업이 시작되기 30분 전쯤에는 세월호 앞에서 안전모를 쓴 채 목포신항 바닥에 자리를 잡고 여전히 누어있는 선체를 뚫어지게 쳐다봤다.
9시쯤 시작된 선체 세우기가 10도, 20도씩 성공적으로 올라가자 유가족들은 중간 중간 탄식을 쏟아냈다.
작업 3시간 뒤인 12시10분쯤 드디어 세월호 직립이 선언되자 유가족과 미수습자 가족들은 안도의 한숨과 함께 박수를 치며 짧은 환호를 외쳤다.
일부 가족은 두 손으로 얼굴을 감싸 쥔 채 눈물을 터트리기도 했다. 유가족 가운데 정모(49)씨는 세월호가 바로서자 힘이 풀린 듯 바닥에 쓰러져 현장에 있는 119구급대로 옮겨졌다.
119구급대원은 “정씨가 긴장이 풀리면서 온몸에 기운이 빠져 일시적으로 쓰러진 것”이라며 “신체적인 이상은 없었으며 10여분 정도 안정을 취한 뒤 돌아갔다”고 했다.
단원고 양승진 교사의 부인 유백형(57)씨는 “그동안 세월호가 목포신항에 누워있는 모습을 매일같이 1년여 동안을 지켜보고 지내오며 기다림에 멈춰 서있었는데 드디어 희망이 생겼다”면서 “세월호의 성공적 직립으로 아직 가족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미수습자 5명과 온전하게 다 찾지 못한 4명의 수습자도 다 찾기를 바란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세월호 직립 선언에 이어 “세월호 선체를 바로 세움으로써 미수습자 분들이 가족의 품으로 꼭 돌아오시기를 기원드립니다. 세월호 선체를 바로 세움으로써 진상규명의 열망을 가진 모든 희생자 가족분에게 위로와 치유의 선물이 되기를 희망합니다.”라는 추모사가 목포신항에 길게 울려 퍼졌다.
이어 이들의 영령을 진심으로 추모하는 묵도가 올려졌다.
목포=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