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은 문재인 정부 지난 1년의 교육정책을 두고 “낙제점조차 아깝다”고 평가했다.
전희경 한국당 대변인은 9일 논평을 내고 “차라리 국가가 안 나서는 것이 도와주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교육의 이념화에 집착한 나머지 교육현장은 정치실험실이 되고 교육정책은 럭비공마냥 여전히 갈팡질팡”이라고 비난했다.
전 대변인은 문재인 대통령이 교육 분야 업무지시 1호로 국정 역사교과서 폐지를 지시한 것을 언급하며 “국정교과서가 담고 있는 내용 중 무엇이 그리 두려워 당선되자마자 폐지를 지시했는지 1년이 지난 지금 그 이유가 만천하에 드러났다. 정치이념화의 도구로 역사교육을 선택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세계가 부러워하는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건국과 자유 가치는 깎아 내리고 최악의 독재국가 북한은 감싸거나 미화하는 내용으로 역사교육의 기준을 바꾸려 하고 있다. 학생들의 이념과 사상을 자신들만의 편향된 사상체계에 볼모로 삼겠다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충분한 준비도 없이 수능개편안을 발표하더니 학부모 반발에 1년을 유예하고 유치원 영어교육을 금지한다더니 또 학부모들이 반대하니 취소했다”며 “급기야 수능개편안은 교육부가 아니라 국가교육회의에서 결정한다고 슬며시 미뤘다”고 지적했다. 이어 “더욱이 그 결정에 여론조사 기법까지 동원한다”며 “드루킹 사태를 보면 문재인 정부의 여론조사가 그리 믿음이 가지도 않을 뿐더러 무책임도 이런 무책임이 없다”고 비판했다.
전 대변인은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의 교육분야 1년은 정치화에 집착한 나머지 교육의 하향평준화를 가속한 시기로 낙제점조차도 아까운 1년”이라며 “문재인 정부는 국정운영 평가에서 교육 분야가 가장 낮은 지지율을 나타내고 있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형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