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현 신임 베트남 주재 대사가 남북정상회담이 성공한 배경에 대해 “친미적인 외교관들이 전면에 나서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해 외교부에서 사실상 경고 처분을 받았다.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은 8일 정례브리핑에서 “김도현 대사가 며칠 전에 초임 공관장으로 부임했다”며 “앞으로 언론 인터뷰 등을 가질 기회가 많을 것으로 생각돼서 내부적으로 필요한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내부적으로 필요한 조치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노 대변인은 “구체적으로 말하는 건 자제하겠다”며 구체적인 답변은 피했다. 이와 관련, 외교부 관계자는 ‘구두 경고로 보면 되느냐’는 질문에 수긍했다. 공관장으로서 사견이 담긴 인터뷰를 한 데 대한 사실상의 주의 또는 경고의 의미가 강한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김 대사는 7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그동안 대다수 외교부 인사들은 미국에 잘 보여야 출세한다거나 미국에 찍히면 안 된다는 인식이 강했다”며 “이번에 남북정상회담이 잘된 것은 친미적인 외교관들이 전면에 나서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가 ‘우리는 전쟁이 싫다. 북한과 협상하고 싶다’는 얘기를 미국에 분명하게 전달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기존 관성대로 따라갔으면 한반도에 전쟁이 났을 수도 있다는 얘기”라며 “소위 ‘자주파’라는 깨인 외교관들의 인식이 있어서 시행착오를 거쳐 지금의 변화를 끌어냈다고 본다”라고 설명했다.
김 대사는 노무현 정부 시절 이른바 ‘자주파 대 동맹파’ 갈등의 핵심 인물로 꼽혀왔다. 김 대사는 2004년 외교부 북미국의 한 과장이 사석에서 노 대통령의 대미정책을 모욕적으로 표현한 일을 청와대에 투서한 당사자로 알려졌다. 이 사건은 윤영관 당시 외교부 장관의 사임으로 이어졌다.
신혜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