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8일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반도 평화 분위기가 무르익는 것과 관련해 “한반도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앞으로의 여정에서 일본의 적극적인 지지와 협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일본의 ‘재팬 패싱’ 우려를 불식시키는 동시에 향후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을 하는 데 있어 일본의 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날 일본 요미우리신문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한반도와 동북아에서 세계사적 대전환이 시작됐다. 한국은 앞으로도 일본과 긴밀히 소통하며 공조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일본의 역할론을 강조하며 북·일 대화 재개를 촉구했다. 그는 “일본은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완전한 비핵화 달성을 위한 한·미·일 공조, 북한의 체제 안전 보장을 위한 북·일 관계 정상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그렇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북·일간 대화가 재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북·일 관계에 대해 언급했다고도 했다. 그는 “아베 총리가 과거문제 청산에 기반한 북·일 국교 정상화를 추진할 의사가 있음을 전달했다”며 “김 위원장은 언제든 일본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북·일 문제에서 일본의 최대 관심사인 납치 피해자 문제를 김 위원장에게 전달했다고도 했다. 문 대통령은 “납치 피해자 문제가 일본 정부와 국민들에게 얼마나 중요한 사안인지 잘 알고 있다”며 “이 문제를 중시하는 아베 총리의 요청이 있기도 했지만, 무엇보다 인도적 차원에서 김 위원장과의 정상회담에서 직접 얘기했다”고 말했다. 앞서 일본 정부는 일본인 납치자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 정부가 협력해 줄 것을 요구했다.
이어 “납치 피해자 문제의 해결에 대해 일본 내 비관론도 높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하지만 신중을 기하며 적극적인 자세로 대화한다면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북한의 전향적 자세에는 끊임없는 대화 노력이 뒷받침됐음을 언급하며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북·일 간 현안이 해결됨으로써 오랜 세월 납치 피해자 가족들이 겪고 있는 아픔이 치유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앞선 남북정상회담의 성과와 김 위원장에 대한 소감도 전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김정은 위원장과 진솔한 이야기를 많이 나눴으며 완전한 비핵화와 핵 없는 한반도 실현 의지를 직접 확인했다”며 “김 위원장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는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긍정적 토대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일각의 비관론에 대해서는 “물론 북·미 정상회담이 아직 개최되지도 않았고, 비핵화의 구체 조치가 담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성급한 낙관은 금물”이라면서도 “그러나 반대로 과거에 북한과의 북핵문제 협의가 실패로 귀결됐다고 오늘의 협의도 실패할 것이라는 비관론에 빠지면 아무 일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정은 위원장은 국제사회의 요구를 명확히 이해하고 있다”며 “저는 북·미 합의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든 가능한 역할을 다 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또 “이 과정에서 일본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주요 관련국들과도 긴밀히 공조해 나갈 것”이라며 협조를 당부했다.
☞
☞
☞
☞
☞
☞
☞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