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北 억류자 석방 가능성에 ‘납북자’ 사전 조율 나선다

입력 2018-05-07 05:00
(사진=AP/뉴시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30일 도쿄 총리관저에서 납치피해자 가족 대표가 낭독하는 결의서내용을 듣고 있다. 결의서는 5월로 예정된 북미정상회담을 계기로 납북자 문제가 해결될 수 있게 노력해달라는 내용이다. 왼쪽에 서있는 여성은 납치피해자 요코타 메구미 어머니 사키에 여사이다.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 석방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납북자 문제를 최우선 현안으로 다루고 있는 일본도 주변국들의 도움을 최대한 구하고 있다.

지난달 27일 남북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언급한 사실을 확인한 일본은 오는 9일 도쿄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에서도 이 문제를 주요 의제로 다루기 위해 사전 조율을 하고 있다.

나가미네 야스마사(長嶺安政) 주한 일본대사는 지난 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를 찾아 천해성 통일부차관과 비공개 회동을 가졌다.

주한 일본대사가 통일부 차관을 찾는 것 자체가 이례적인 것은 아니다. 통상적으로 북한 관련 주요 이슈가 있을 때마다 카운터파트 격(格)인 통일부 차관을 만나 상호 의견을 교환했다. 일부 일정은 사전에 공개되기도 했다.

나가미네 대사는 이날 천 차관을 만나 지난달 남북 정상회담에서 일본인 납북자 문제에 대한 북한 측의 분위기 등을 공유하고, 또한 향후 ‘인도적 문제’라는 공통분모 하에서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이 공조하는 방안도 논의했을 거라는 관측이다.

한 외교 소식통은 “주한 일본대사가 통일부를 찾을 이유는 많지 않다”며 “특히 매번 올 때마다 빠지지 않고 이야기하는 문제가 일본인 납북자 문제”라고 말했다.

최근 일본은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 석방 문제가 주요 의제로 부각되자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미국이 함께 다뤄줄 것을 지속적으로 호소하고 있다.

앞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을 긴급히 방문해 일본인 납북자 문제에 대한 미국 측의 전향적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일본 안팎에서는 아베 총리가 북한 비핵화 문제보다 일본인 납북자 문제에 더 비중을 두면서 외교적으로 소득 없이 잃는 게 많다는 비판도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외교 소식통은 “지난달 초 한국을 방문한 일본의 고노 다로(河野太郎) 외무상이 남북 정상회담에서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다뤄달라고 했을 당시 호의적인 분위기는 아니었던 것으로 들었다”며 “아베 정권이 스캔들을 타개하기 위해 납북자 카드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으나 이래저래 발목만 잡고 있는 꼴”이라고 말했다.

박세원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