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회담 전 남북정상 ‘핫라인 통화’ 유력… ‘이행위’ 오늘 첫 회의

입력 2018-05-03 08:11 수정 2018-05-03 08:19

문재인 대통령은 3일 오후 청와대에서 ‘판문점 선언 이행추진위원회’ 첫 회의를 주재한다.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를 ‘이행위원회’로 개편하고 향후 남북 합의 이행 방향을 논의할 계획이다. 판문점 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모두 남북관계 개선의 ‘속도전’을 강조했다. 판문점 선언에 포함된 교류 일정만도 올 연말까지 빽빽이 예정돼 있다. 그 과정을 주관할 조직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오후 3시 이행추진위원회 첫 회의가 열린다”며 “일단 정상회담준비위 멤버들이 그대로 참여해 개편될 기구의 구성부터 논의하게 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행추진위원장을 누가 맡을지는 회의를 해봐야 알 수 있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맡을 수도 있고, 임종석 비서실장이 준비위원장에 이어 이행위원장을 계속 맡을 수도 있다”고 전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는 일단 이행위원회 첫 회의에는 참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회의에서 남북경협 추진 방향이 비중 있게 다뤄질 경우 경제 분야 위원이 확대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이달 중으로 열릴 남북장성급회담 대표는 김도균(육사 44기·소장) 청와대 국방개혁비서관이 사실상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김 비서관이 금명간 국방부 대북정책관에 부임한다고 밝혔다. 김 비서관은 영관 장교 시절 남북 군사회담에 많이 참여한 경험을 갖고 있다. 2011년 2월 중령 시절 남북 군사실무회담 대표단의 일원이었고, 국방부 북한정책과장(대령)이던 2014년 2월 남북 고위급 접촉 때도 참여했다.

국방부는 지난해 말 남북군사회담 업무 등 대북정책을 총괄하는 대북정책관 직위를 신설하고 지난 2월 박인호(공사35기) 공군 소장을 임명했다. 정부가 3개월여 만에 김 비서관을 대북정책관으로 발탁한 것은 군사 분야의 남북정상회담 후속조치를 진행하려면 문 대통령의 대북정책 철학을 잘 아는 인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첫 핫라인 통화는 북미정상회담 일정과 장소가 공식적으로 발표된 뒤 이뤄질 전망이다. 핫라인 통화는 당초 남북정상회담 전에 하려다 회담 이후로 미뤄졌다. 상견례 수준의 대화보다 ‘의미 있는 의견을 주고받고 뭔가 합의를 이뤄내는’ 첫 통화를 하자는 쪽으로 방향이 바뀌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미회담 일정을 공식화하게 되면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핫라인으로 통화해 의견을 주고받을 계기가 만들어질 것”이라며 “지금으로선 그것이 핫라인 통화가 이뤄질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계기”라고 말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