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상파울루 화재 현장에서는 구조 직전에 건물이 붕괴돼 화염 속으로 빨려든 남성도 있었다. 그를 눈앞에서 놓친 소방관은 “30초만 더 빨랐더라면…”이라며 안타까워했다. 구도심에 방치된 이 낡은 건물은 여러 노숙인의 거처였다. 화마(火魔)는 이 모든 것들을 삼켜 삶과 죽음의 경계조차 모호한 ‘지옥도’를 그렸다.
현지 공영 TV브라질은 1일(현지시간) 상파울루 도심 한복판에서 발생한 24층 추정 고층 건물의 화재 현장을 생방송했다. 이 과정에서 구조 마지막 단계에 무너진 건물 속으로 빨려든 남성이 고스란히 TV로 송출됐다. 현재 잔불을 잡고 있는 화재 현장에서 사상자 수가 정확하게 집계되지 않았지만, 이 남성만은 사망자로 분명하게 기록됐다.
남성은 불이 난 건물 창가에 매달려 구조를 애원했다. 소방관은 바로 옆 건물 옥상에서 구조를 시도했다. 팔과 다리를 묶을 수 있는 줄을 남성에게 보내고, 남성이 이 줄로 몸을 고정하면 끌어올릴 계획이었다. 남성은 침착하게 줄을 몸에 묶었다. 이제 소방관이 끌어올리기만 하면 구조에 성공할 수 있었다. 하지만 구조 직전에 건물이 무너졌고, 남성은 붉은 화염과 검은 연기 속으로 파묻혔다.
남성을 구조하려던 소방관은 다 시우바 산토스. 그는 진화작업을 끝내고 만난 기자들에게 어렵게 입을 열었다. 그는 “희생자에게 구조가 필요했다. 살려 달라고 애원하고 있었다”며 “‘불이 뜨겁다고 생각하지 말고 우리만 보라’고 외치며 그를 진정시켰다. 희생자는 침착하게 몸을 줄로 묶고 구조 준비를 마쳤다”고 말했다.
산토스는 붕괴된 건물의 벽돌 파편과 불덩이 속으로 파묻힌 남성의 마지막 모습을 목격했다. 이 모습은 이제 산토스에게 평생 지울 수 없는 기억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 그는 “이 상황에서 상처를 받지 않을 수 없다. 구조가 30초만 더 빨랐더라면…”이라고 말을 잇지 못했다.
☞
☞
☞
☞
☞
☞
☞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