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한 기업이 뇌파 측정을 통해 사람들의 ‘머릿속’까지 통제하고 있다.
30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통신장비 등을 생산하는 중국 기업인 항저우중헝(杭州中恒)전기는 생산설비 노동자들에게 매우 작고 가벼운 무선 센서가 부착된 모자를 쓰고 일하게 한다.
이 센서는 노동자들의 뇌파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컴퓨터로 보낸다. 이 컴퓨터는 뇌파를 분석해 노동자의 걱정, 불안, 분노 등 감정 변화를 읽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사는 생산 속도를 조절하고 공정을 개선해 전반적인 작업 능률을 높인다. 노동자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휴식 시간의 빈도와 길이를 조절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뇌 감시’ 연구는 서구 선진국에서도 이뤄지고 있지만, 실제 산업 현장에 전면적으로 적용된 것은 중국이 처음이다. 미국 등지에서는 양궁 등 스포츠 훈련에서 선수의 기량 향상에 쓰일 뿐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프로그램의 세부 사항을 밝히기는 거부하면서도 “그 효과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뇌 감시 시스템을 적용한 2014년 이후 이 회사의 순익은 20억 위안(약 3400억원)가량 늘었다”고 말했다. 또 “처음에는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거부감이 컸지만, 이제는 모두 익숙해졌다”며 “이는 중국이 경쟁자들을 추월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일각에선 전면적인 뇌 감시 시스템 적용이 초래할 ‘빅 브러더’ 사회에 대한 경고의 목소리도 나온다. 베이징사범대학의 차오젠 교수는 “이러한 기술은 기업이 노동자의 감정을 통제하고 사생활을 침해하는 데 쓰여 ‘감정 경찰’로 변질할 우려가 있다”며 “페이스북의 개인정보 유출도 나쁘지만, 이러한 뇌 감시 시스템은 사생활 침해를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차오 교수는 “인간의 마음이 수익 창출에 함부로 쓰여서는 안 될 것”이라며 “뇌 감시 시스템을 제한할 법규를 마련하고,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노동자의 선택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혜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