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 정도의 짧은 진료 시간을 15분 이상 늘리는 이른바 ‘심층진료’가 환자 만족도는 높이고 총 진료비는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공공의료보건사업단은 지난해 9월부터 시행된 상급종합병원 심층진찰 시범사업에서 환자 만족도와 진료의 내용, 진료비, 회송률 등을 평가한 결과, 이 같이 분석됐다고 30일 밝혔다.
사업단은 지난해 10월 1일~12월 31일 심층진찰 시범사업에 참여한 274명과 대조군 14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진료시간에 만족한다는 심층진료군은 92%(254명)에 달해 대조군(71%·99명)의 만족도를 크게 웃돌았다.
외래 진료 자체에 대한 만족도 역시 심층진료군이 10점 만점에 9.04점, 대조군이 7.65점으로 1.39점의 차이를 보였다.
총 진료비도 많이 줄어들었다. 급여, 비급여, 검사비, 약제비 등을 모두 포함했을 때 심층진료군의 총 진료비는 평균 22만521원으로 대조군보다 약 9.2% 낮았다. 대조군의 총 진료비는 24만2862원으로 집계됐다. 권용진 사업단장은 “진찰이 오랫동안 이뤄지면서 받아야 하는 검사 수와 약 처방이 줄어 전반적인 진료비가 감소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특히 상급종합병원에서 반드시 진료해야 하는 중증질환자일수록 진료비 감소 폭이 컸다. 중증질환자 심층진료군의 총 진료비는 34만1733원으로 대조군(43만9166원)보다 22.17% 저렴했다.
보건복지부는 올해부터 심층진찰 시범사업 실시 의료기관 수를 25개로 확대하기로 했다. 권 단장은 “심층진료 사업은 상급종합병원이 중증 및 희귀질환자를 대상으로 고도화된 진료에 집중하고 경증 환자를 지역 사회로 적극 돌려보냄으로써 의료체계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
☞
☞
☞
☞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15분 심층진료’…환자 만족도 ↑ 진료비 ↓
입력 2018-04-30 1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