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30일 오후 2시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며 4·27 남북정상회담의 ‘소회’를 밝힌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느꼈던 점, 회담의 의의, 앞으로 해야 할 조치들에 대한 발언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향후 조치와 관련해 구체적인 내용까지는 (대통령 발언에) 담기지 않을 수 있다. 정상회담 이행위원회를 구성하는 정도의 언급은 예상된다. 국회 비준은 청와대 내부에서도 아직 구체적 방법에 대한 정식 논의는 이뤄지지 않은 상태”라고 했다.
28일 밤에 이뤄진 한·미 정상 통화는 주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질문을 하고 문 대통령이 답변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두 정상의 이날 통화 시간(1시간15분)은 그동안 이뤄졌던 통화 가운데 가장 길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 주 안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도 통화해 회담 결과를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북미정상회담 전에 추진될 한미정상회담 일정에 대해선 “북미회담 일정과 연동될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3~4주 안에 김정은 위원장과 만날 것이라고 했는데, 확정되는 날짜를 보고 그에 연동해 한미정상회담 일정도 잡히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북미회담 일정이 생각보다 빨리 정해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북미회담 장소로 몽골과 싱가포르가 거론되는 과 관련해 그는 “구체적 장소는 말할 수 없다”고 했다.
청와대는 당초 정상회담 전에 하려 했던 ‘남북 정상 핫라인 통화’도 “머지않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측은 “전화통화를 언제 하느냐보다 어떤 내용으로 하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
☞
☞
☞
☞
☞
☞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