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반도 해빙 분위기에서 ‘재팬 패싱(일본 배제)’ 지적에 시달려온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남북 정상회담에서 일본인 납치자 문제와 북·일 관계 정상화 문제가 거론된 것에 크게 고무된 분위기다. 그는 납치자 문제를 북·미 정상회담에서도 다뤄지도록 해 이 문제가 더욱 진전될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NHK방송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29일 도쿄 총리관저에서 서훈 국가정보원장의 예방을 받은 자리에서 “바쁜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으로부터 오늘 전화를 받았고 남북 정상회담에 대해 설명을 들었다”며 “제가 요청한 납치자 문제를 북한에 얘기해줬고 제 생각을 전달해줘 감사하다”고 말했다. 이어 “북·일 관계(정상화)에 대해서도 얘기가 있었던 것으로 아는데 다시 한 번 감사드린다”고 거듭 사의를 표명했다.
아베 총리는 앞서 문 대통령과 통화 후 기자들을 만나 “남북 정상회담 합의문에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가 명기된 것을 평가하고 싶다”면서 “향후 북·미 정상회담에서 핵무기를 포함한 대량살상무기와 모든 탄도미사일이 폐기될 수 있도록 공조하겠다”고 말했다. 일본은 그동안 북·미 정상회담에서 미국을 겨냥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만 폐기키로 하고, 일본을 사정권에 둔 중단거리 탄도미사일은 제외시키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해왔다.
아베 총리는 전날 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한 뒤 기자들에게 “남북 정상회담 결과는 동북아 안정을 위한 역사적 진전이라는 데 트럼프 대통령과 인식을 같이했다”며 “한·미·일이 공조해 북·미 정상회담도 성공하도록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