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면집 인산인해 소식에 웃음 터져"
"김정은, 술 상당히 많이 마셔"
"억지로 끝내야 할 정도로 분위기 좋아"
27일 있었던 남북 정상회담 뒤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 3층 연회장에서 진행된 환영만찬에서는 남북화해 기대감에 평양냉면집이 인산인해를 이뤘다는 소식이 화제가 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29일 기자들과 만나 남북 정상회담 환영만찬 당시 있었던 뒷 이야기들을 공개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 만찬 메뉴 중에서는 평양냉면이 단연 관심의 대상이었다. 이날 만찬장에는 물냉면과 비빔냉면으로 보이는 빨간 냉면 두 종류가 제공됐다.
이 관계자는 "비빔냉면으로 보이는 빨간 냉면도 있었는데 비빔냉면이라고 부르지는 않았다"며 "정확한 명칭은 모르겠지만 빨간 비빔냉면은 쟁반냉면으로 부른다고 들었다는 사람이 있었다"고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내외가 고른 것은 모두 물냉면이었다. 만찬메뉴로 냉면을 소개하면서 한국에서 점심시간 때 평양냉면집이 인산인해를 이룬다는 뉴스 전했더니 참석자들이 다들 좋아했다고 한다.
이 관계자는 "아마도 이날의 감격들을 일반시민들도 함께 기뻐하기 위해서 냉면집 몰려간 게 아니겠냐는 이야기를 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당일 북한이 판문점으로 공수해 온 제면기가 고장나 평양냉면이 늦게 나왔다는 이야기가 있었던 데 대해서는 "평양냉면만 늦어진 게 아니고 모든 음식이 다 늦었다. 공식공연이 조금 길어졌기 때문"이라며 "예정에 없던 고향의 봄을 부르기도 했고 북측 공연 중 요술도 시간이 꽤 걸렸다. 그것을 하는 도중에는 서빙이 중단돼 그 시간만큼 딜레이됐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5분 안에 면이 뽑아져서 냉면 육수에 담는 것으로 (북측이) 준비했는데 아마도 순서가 정해진 시간에 맞춰 진행됐다면 북측도 서두름 없이 서빙했겠지만 모든 서빙이 딜레이되고 빨리빨리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라 냉면 준비자들도 경황이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후 6시30분에 시작한 만찬은 예정시간인 2시간보다 40분 길어져 오후 9시10분에 끝났다. 굉장히 자유롭고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만찬이 진행되느라 시간이 지연돼 억지로 끝을 내야 했을 정도였다고 한다.
이 관계자는 "지금껏 봐왔던 어떤 만찬보다 훨씬 자유롭게 오고 갔다. 딱딱한 분위기가 아니라 편한사람끼리 통성명하고 술잔 부딪히고 술을 따라주면서 안부를 묻는 분위기가 계속 이어졌다"며 "보통은 자기 자리를 떠나는 일이 별로 없는데 이날 만찬은 자기 자리라는 게 없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굉장히 자유로운 분위기였다"고 설명했다.
애주가로 알려진 김 위원장은 환영만찬에서도 많은 양의 술을 마신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만찬에는 두견주와 문배술이 만찬주로 나왔다. 이 관계자는 "술이 세 보이진 않았지만 김 위원장이 상당히 많이 마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환영만찬에 있었던 공연에 대해선 "오연준군이 '바람이 불어오는 곳' 한곡만 부르기로 돼 있었는데 사회자가 한곡 더 불러달라고 부탁해 '고향의 봄'을 부르게 됐다"며 "당시 리설주, 김여정, 현송월 등 북측 인사들도 입모양을 보니 모두 고향의 봄을 따라부르더라. 고향의 봄을 부르면서 서로 고향 생각을 떠올리지 않았나 한다"고 말했다.
북측 예술단은 공연에서 마술을 보여주기도 했는데 북한은 마술을 '요술'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 관계자는 "북측의 만찬스타일은 남측의 스타일과 굉장히 달랐다"며 "남측은 공식적인 연주나 공연이 펼쳐지는 분위기인데 북측은 여흥이 강조되는 만찬이 일상화 돼 있다고 한다"고 말했다.
남측 공연단의 답례 공연에서 가수 조용필과 현송월 삼지연관현악단장 간 즉석 공연이 펼쳐지기도 했다.
이 관계자는 "조용필씨가 먼저 나와서 '그 겨울의 찻집'을 불렀는데 현 단장보고 나오라 해서 두 분이 함께 노래했다. 사전에 전혀 조율이 안됐던 부분"이라며 "'평양에서는 현 단장이 키(key)를 제게 맞췄으니 이번엔 제가 키를 맞추겠다'고 조용필씨가 얘기했고 키를 맞춰가면서 열창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남북 정상이 주고받은 선물에 대해서는 "국빈 간에 주고 받는 선물은 비공개로 돼 있다"며 공개하지 않았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