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 만에 이뤄진 남북 정상회담을 “역사적 만남”이라 표현한 외신들은 이번 회담이 남북 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에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내놓았다. 다만 이번 판문전 선언문에 담긴 북한 비핵화에 대한 합의가 원론적 수준에 그쳤다고 지적하며 북미 회담으로 시선을 돌리고 있다. “비핵화의 마무리는 트럼프 손에 달렸다”는 평가다.
뉴욕타임스(NYT)는 27일(현지시간) “두 한국 지도자가 27일 오후 발표한 선언문은 주로 일반적인 남북 관계에 대한 상직적인 언어들로 채워졌으며, 핵 문제에 대한 언급은 적었다”며 “선언문은 평화 협정 체결 시한을 올해 말까지로 설정했지만 북한의 비핵화 일정을 제시하지는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북미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핵무기를 해체하는 프로세스를 만들어야 하며, 비축된 우라늄과 플루토늄을 제거하는 과정과 역사상 가장 복잡한 검증 프로그램을 수립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영국 BBC는 “(선언문에 담겨 있는) 한국인들의 미래를 결정할 수 있는 내용들에도 불구하고 (남북은) 미국의 결정적인 중요성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고 분석했다. 이어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약속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CVID)’ 비핵화라는 미국의 요구와는 크게 다를 것”이라며 “5월 말~6월 초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북미 정상회담은 평화를 위한 북한의 의지를 시험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본 아사히 신문은 “평화와 화해를 추구하는 북한의 새로운 태도는 분명 환영할 만한 변화지만, 아직 협상의 과정은 거의 시작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아사히는 “북한의 단계적 비핵화에 대한 과거의 합의는 모두 무효화됐다”며 “과거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고 한반도에 나타난 평화의 싹을 조심스럽게 키워나가기 위해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신중한 전략과 뛰어난 외교적 수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8일 밤 1시간15분 동안 전화통화를 하며 북미 정상회담에서 완전한 비핵화의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합의에 이를 수 있도록 한미 간의 공조가 매우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향후 긴밀한 협의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판문점 선언을 통해 완전한 비핵화를 통한 핵 없는 한반도 실현 목표를 확인한 것은 남북한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매우 반가운 소식”이라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의 시기·장소 등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방안도 논의했다. 두 정상은 남북 정상회담 성공의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해 북미 정상회담을 가급적 조속히 개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데 공감했다. 두 정상은 이와 함께 현재 2~3곳으로 압축된 북미 정상회담 장소의 장단점에 대해서도 의견을 주고받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회담을 고대한다”며 “북미 정상회담에서도 매우 좋은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또 “문 대통령의 전화를 언제라도 최우선적으로 받겠다”면서 한미간의 공조가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
☞
☞
☞
☞
☞
☞
☞
☞
☞
박세원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