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암호화폐(가상화폐)관련 규제를 강화함에 따라 싱가포르와 홍콩이 새로운 메카로 부상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지난 23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가상화폐 관련 기업 및 투자자들이 중국을 떠나 싱가포르와 홍콩으로 가면서 이들 두 곳이 가상화폐의 새로운 중심지가 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SCMP는 “작년 9월 이후 홍콩과 싱가포르에서 가상통화 관련 사업, 특히 가상화폐를 통해 자금을 마련하는 가상통화공개(ICO)가 많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가 지난해 9월 금융사기와 자금세탁에 이용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ICO를 불법적인 자금 모금 수단으로 규정하면서부터다.
싱가포르 가상화폐 기업 협회 및 스타트업협회 앤슨 질 회장은 “싱가포르를 ICO 허브가 됐다고 볼 수 없지만 작년 9월 이후 관련 활동이 늘고 있다”고 밝혔다.
가상화폐 정보 서비스인 펀더빔의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싱가포르는 미국과 스위스에 이은 세계 3대 ICO 지원 국가로 손꼽히고 있다.
베이징에서 ICO 관련 업무에 종사해 온 데이지 우는 작년 규제 조치가 발표된 이후 싱가포르를 선택했다.
SCMP는 홍콩 역시 가상화폐 관련 기업들이 선호하는 지역이라면서 "중국 본토와 달리 홍콩에서는 가상화폐 관련 거래가 자유롭다"고 전했다.
핀테크 및 인터넷 관련 법률 문제를 다루는 홍콩 RPC의 변호사 벤 야츠는 "지난해 9월 이후 ICO 관련 문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SCMP는 물론 싱가포르와 홍콩만이 ICO에 유리한 것이 아니고 일본과 대만, 동남아 국가들도 가상화폐 거래에 친화적이지만 싱가포르와 홍콩은 ‘금융허브’라는 뚜렷한 우위를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밖에 싱가포르와 홍콩은 가상화폐 거래에 대한 양도소득세를 부과하지 않고 있어 ICO 진행 시 투자자를 모으기에 보다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고다고 SCMP는 덧붙였다.
반면, 한국은 현행 체제 내에서 장려책은 '포지티브(positive) 규제'라며 블록체인 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비판하고 있다.
지난 12일 이민화 카이스트 교수는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블록체인 서밋'에서 선제적 규제보다는 세심한 모니터링을 통해 신뢰의 기술인 블록체인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4차 산업혁명을 단순한 IT기술의 융합으로 해석하는 것은 반만 보는 시각"이라며 "4차 산업혁명의 도래는 자기표현과 자아실현의 욕망이 지능혁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중앙 집중화된 플랫폼의 권력을 분산하는 플랫폼 시대를 열어 공유경제의 길을 열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전하진 한국블록체인협회 자율규제위원장은 "지상경제하고는 전혀 다른 경제를 만들어 지는 것"이라며 "비트코인이라는 기축통화가 만들어지고 여러 코인이 만들어졌다. 이런 코인이 가치를 가지기 시작하면 공유경제가 자연스럽게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ICO와 IPO(기업공개)를 비교하는 것에 대해 경계했다. 그는 "IPO는 투자자가 부족하면 투자금을 모아서 이익을 내고, 이를 통해 주주의 이익을극대화하는 개념"이라며 "ICO는 투자를 하는 사람이 토큰을 가지고 함께 생태계를 만드는 모델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봉사도 토큰화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
☞
☞
☞
☞
☞
☞
☞
☞
☞
이석희 기자 shlee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