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엔 단호한 北… 아베 ‘정상회담’ 요구에 “일절 응하지 말라”

입력 2018-04-28 16:06 수정 2018-04-28 16:08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뉴시스

북한이 일본의 정상회담 요청을 거절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비즈니스인사이더 일본판은 27일 대북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 당국이 일본의 정상회담 요구에 일절 응하지 말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북미 정상회담 개최가 결정된 지난 3월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만남을 희망한다는 아베 신조 총리의 의향을 여러 경로를 통해 북한에 전달했다. 하지만 북한은 이에 답하지 않았다.

이 소식통은 또 “아베 총리가 평창 동계올림픽 개회식 리셉션에 참석해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에게 ‘북·일 평양선언’과 ‘스톡홀름 합의’ 복귀를 촉구했다”면서 “김 위원장은 일본의 사죄와 배상이 먼저란 반응을 보였다”고 했다. 아베 총리와 김 상임위원장이 통역의 도움을 받아 이 같은 얘기를 나눴다는 게 소식통의 설명이다.

김영남 상임위원장은 평창 올림픽이 열린 2월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과 함께 2박3일 일정으로 방남했다. 아베 총리 역시 한국을 찾았고, 두 사람은 개막식에 앞서 진행된 사전 리셉션장에서 만났다. 두 사람의 대화 여부를 두고 의견이 분분했지만 아베 총리가 김 상임위원장에게 인사하는 모습을 한 매체가 포착해 공개했다. 대화 내용은 전해지지 않았었다.

아베 총리가 언급했다는 주장이 나온 평양선언은 2002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일본 총리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가진 뒤 서명한 것이다. 양국은 북일 국교정상화 협상 재개를 위해 북한의 일본인 납치사건 문제 해결과 일본의 식민지배에 대한 사죄 및 경제적 보상을 논의했다.

이후 양국은 2014년 5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일본인 납북사건 재조사에 전격 합의했다. 하지만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일본의 대북 압력 노선이 본격화되면서 흐지부지됐다.

남북 정상은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위한 남·북·미 3자 또는 남·중·북·미 4자 회담을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여기에 일본은 포함되지 않았다. 따돌림당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 아베 총리는 “그럴 일은 전혀 없다”면서 “미국과 일본은 같은 방침을 갖고 있다. 문 대통령과도 일치한 방향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