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에 평화공원...경기북부·강원도 땅값 '더 오를까'

입력 2018-04-28 13:47

29일 경기 파주 등 접경지역 일대 부동산 등에 따르면 올해 초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남북간 화해무드가 조성되면서 이미 남북정상회담이 열리기 전부터 휴전선에 인접한 민통선의 땅값이 들썩이고 있다.

파주 문산읍에 있는 한 부동산 관계자는 "도라산역 인근 등 민통선(민간인통제구역경계선) 내에 있는 매물을 문의하는 전화가 많이 오고 있다"면서 "적당한 매물을 찾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 지역의 다른 부동산 관계자는 "최근 일부 거래가 성사되면서, 지역별로 가격이 오른 곳이 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27일 판문점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남북이 '한반도 비핵화'를 공동 목표로 추진한 데서 한발 나아가 비무장지대를 실질적인 평화지대로 만들겠다는 발언까지 나오면서 이 지역 부동산 시장은 더욱 활기를 띌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질 전망이다.

하지만 북한은 1990년 남북 고위급회담 등을 통해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제안'을 통해 비무장지대의 평화지대화를 우리측에 제안하기도 했으나 미군 철수 등 군축 문제를 우선 해결해야한다는 입장을 나타내며 진전을 보지 못했다.

사실상 이번 남북 선언도 새로운 내용은 아니라는 점에서 큰 기대를 하는 것은 무리라는 입장도 있다. 다만 실제 공원 후보지 선정 등 논의가 구체화된다면 호재로 이어질 가능성은 높다.

통일부는 지난 박근혜 정부 때 DMZ 내 생태평화공원 조성을 위해 강원 고성군과 철원군, 경기 파주시 등 후보지 3곳에 대해 현지실자를 진행했다. 특히 철원군은 국토 중심축에 위치한데다 비무장지대 248km 중 약 30%(70.2km)를 차지하고 있어 유력 후보지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남북철도 연결 등 교통 인프라 개선을 필두로 과거 참여정부 때 추진됐던 도로망 연결, 항공 등 각종 사회간접자본(SOC) 건설이 재개되면 교통시설이 지나는 지역을 중심으로 수혜를 볼 가능성이 점쳐진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접경지역에서 리스크가 많이 해소되는 것 자체는 부동산 가격에 호재가 될 수 있다"면서도 "현실적으로는 제한이 있을 수 있다"고 견해를 밝혔다.

그는 "군사보호구역으로 묶이거나, 개발을 위해 군부대 협의가 필요하다든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며 "또 개발을 위해 전수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다운계약서, 자경 원칙 등 편법, 불법사항 등이 철퇴를 맞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석희 기자 shlee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