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합의했다. ‘완전한 비핵화’란 표현에 대해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하겠다는 의지”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정상회담이 열린 27일 오후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집 앞마당에서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을 공동으로 발표했다. 남북은 정전협정체결 65년이 되는 올해에 종전을 선언하고 한반도 비핵화에 합의했다. 두 정상은 선언문에서 “냉전의 산물인 오랜 분단과 대결을 하루 빨리 종식시키고 민족적 화해와 평화번영의 새로운 시대를 과감하게 열어나가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선언문에 등장하는 ‘완전한 비핵화’는 ‘핵 없는 한반도’를 의미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완전한 비핵화라는 표현을 쓴 데 주목하면 좋겠다”면서 “핵 없는 한반도 실현의지를 확인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비핵화 과정에 따라 우리가 취해야할 일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부분에 대한 책임과 역할을 다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경제적인 부분을 지금 당장 하겠다는 말은 아니다. 비핵화 또는 북미 간 협상 이후에 진행되는 과정을 보면서 우선적으로 남북 간에 해야 될 과제가 무엇인지의 공감을 확인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의 가을 평양 방문은 북측에서 먼저 요구해 우리 측이 흔쾌히 수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날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한다. 선언문에 나온 ‘남·북·미’ 또는 ‘남·북·미·중’ 회담에 대해서는 “그것은 여러 가지 상황들을 보면서 가장 적절한 방식이 뭔지 판단하겠다는 것”이라고 말을 아꼈다.
청와대 관계자는 “(우리 정부도) 북한이 갖고 있는 완전한 비핵화 의미에 대해 서로 공감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판문점 공동취재팀,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