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오전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남북정상회담을 가졌다. 11년 만의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의 태도 변화를 기대해볼 수 있는 상황에서 지난해 문재인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가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8월 15일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2주년 광복절 기념식’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분단은 냉전의 틈바구니 속에서 우리 힘으로 우리 운명을 결정할 수 없었던 불행한 유산”이라며 “이제 한반도의 평화도, 분단 극복도, 우리가 우리 힘으로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반도 평화 정착을 통한 분단 극복이야말로 광복을 진정으로 완성하는 길”이라고도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문제는 반드시 평화적이고 주도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한반도에서의 군사행동은 대한민국만이 결정할 수 있고, 누구도 대한민국의 동의 없이 군사행동을 결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북한에 대한 제재와 대화에 대해서는 “북한이 미사일 발사시험을 유예하거나 핵실험 중단을 천명했던 시기는 예외 없이 남북관계가 좋은 시기였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며 대북 문제에 있어 우리나라의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또 북한 당국에 “도발을 중단하고 대화의 장으로 나와 핵 없이도 북한의 안보를 걱정하지 않을 상황을 만들자. 우리가 돕고 만들어 가겠다”고 제안했다. 통일은 민족공동체의 모든 구성원들이 합의하는 평화적이고 민주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며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을 언급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이 이같은 내용의 축사를 발표한 지 8달이 지난 2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통해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중지하고, 풍계리 핵실험장을 폐기하겠다고 결정했다. 남북정상회담 모두발언을 할 때에는 “북남 관계가 새로운 역사가 쓰이는 순간에 출발점에 서서 신호탄을 쏜다는 마음을 가지고 여기에 왔다”고 말해 앞으로의 우호적인 남북관계를 기대하게 했다.
우승원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