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협상테이블로 이끌겠다” 353일만에 실현된 文대통령 공약

입력 2018-04-27 14:21 수정 2018-04-27 14:30

문재인 대통령이 어려울 것처럼 보였던 대선 공약을 지켰다. 지난해 5월 10일 취임 후 353일 만에 이뤄낸 약속이다. 문 대통령은 대선 당시 4차 TV 광고에서 “북한에 제재와 압박을 강화하는 동시에 협상테이블로 끌어낼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강대국 사이에서 국가의 안보와 국익을 지켜내겠다는 설명이었다.


대선 공약집에서는 한 발 나아가 북핵 문제 해결에 대한 공약이 있다. 27일 오후 2시까지는 아직 북핵 관련 합의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북핵 문제 해결은 가장 중요한 협상 의제로 남아있다. 공약집에는 "북한의 핵 활동을 중단시키고 완전한 핵 폐기를 추진하겠다"며 "제제와 대화 등 모든 수단을 활용해 북한의 비핵화를 견인하겠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우여곡절이 많았다. 북한은 문 대통령 취임 나흘 만에 IRBM(중장거리탄도미사일) ‘화성 12형’을 쏘아 올렸다. 그런데도 문 대통령은 북한에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제안했고, 북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은 듯 그해 7월 4일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 ‘화성 14형’을 발사하기에 이른다.


그 시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화염과 분노’ 발언이 나왔다. 미국 본토를 겨냥하는 북한의 미사일 실험에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가 여태껏 보지 못했던 화염과 분노에 직면할 것”이라고 엄포를 놓았다. 다음 달 북한은 6차 핵실험을 하며 일촉즉발의 남북 긴장 분위기가 최고조에 달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완전히 파괴할 것”이라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사상 최고의 초강경 대응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전은 김 국무위원장으로부터 시작됐다. 김 위원장은 신년사에서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와 남북 당국 간 회담 의사를 밝혔다. 이튿날 문 대통령은 새해 첫 국무회의에서 김 위원장의 신년사에 환영 입장을 내놨고 남북 고위급회담이 일주일만인 지난 1월 9일 열리게 된다. 평창올림픽은 남북 화해 분위기의 방점을 찍는다. 지난달 5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등 대북특사단이 평양을 방문했고 남북 정상회담 개최를 확정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