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北 비핵화 약속, 문서로 남기면 확실한 성과”

입력 2018-04-27 06:28 수정 2018-04-27 06:50
뉴시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남북정상회담의 핵심 의제가 될 한반도 비핵화와 관련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약속을 문서화할 수 있다면 그것은 매우 확실한 성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CNN방송은 26일(현지시간) 강 장관이 문재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남북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CNN 앵커 크리스티안 아만포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전했다. 강 장관은 또 북한이 비핵화와 관련해 가시적이고 의미 있는 조치를 하지 않는다면 대북 제재 및 압박도 유지될 것이라고도 했다.

강 장관은 27일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정착, 남북관계 개선 등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현안’이 포함된 공동성명을 채택할 가능성을 암시했다고 방송은 전했다.

강 장관은 1953년 이후 정전 상태인 남북이 당장 공식적인 평화협정을 맺는 것이 비현실적임을 지적하며 “적대감을 제거함으로써 평화의 실체를 만들어낼 필요가 있다. 이후 양측에 충분한 신뢰가 생기면 평화조약에 서명할 준비가 된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문 대통령 역시 지난 24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전화통화에서 “종전선언은 남북만의 대화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 남·북·미 3자 합의가 이뤄져야 성공할 수 있다”며 급작스러운 종전선언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다만 종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의 전환은 결국 남북의 합의로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

강 장관은 남북정상회담에 대해 “우리는 모두 분명 기분 좋게 놀랐을 것”이라며 “모든 징후는 우리가 매우 성공적인 정상회담을 향해 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강 장관은 남북정상회담 성사의 공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돌리기도 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분명한 공이 있다”며 “그는 (취임) 첫날부터 이 일을 움켜쥐기로 마음먹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간혹 다른 메시지를 보내긴 하지만 긴밀한 협의를 유지를 통해 “북한이 결코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지 못할 것이라는 (공통의) 메시지”를 공유했다고 밝혔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