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에 드루킹까지… 복마전 된 네이버 댓글, 새 정책 발표

입력 2018-04-25 10:13
경기도 성남 네이버 본사. 뉴시스

포털 사이트 네이버가 ‘드루킹 사건’으로 드러난 댓글 여론조작을 차단하기 위해 새로운 정책을 시행했다.

네이버는 25일 운영자 블로그 ‘네이버 다이어리’에 댓글 정책 이용자 패널에서 협의한 네 가지 개편안을 공개했다. 가장 큰 변화는 댓글 작성이나 ‘공감·비공감’ 클릭으로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한 점에 있다.

네이버는 하나의 계정으로 같은 뉴스에 작성할 수 있는 댓글 수를 3개로 축소했다. 기존의 한도는 20개였다. 댓글을 연속으로 작성하는 시간 간격은 10초에서 60초로 늘렸다. 하나의 계정으로 24시간 동안 클릭할 수 있는 ‘공감·비공감’ 수를 50회로 제한했다. 이를 취소하는 클릭도 50회 안에 포함된다. 앞서 ‘공감·비공감’ 클릭 횟수에 대한 제한은 없었다.

네이버는 댓글 정렬 방식에 대해서도 문제점을 추적하고 개선안을 만련할 계획이다. 이르면 다음달 중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개인별 차단 기능을 신설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에 대한 댓글 작성 및 ‘공감·비공감’ 클릭 횟수 제한도 검토하고 있다.

네이버는 2004년부터 뉴스에 의견을 남길 수 있도록 댓글 게시판을 시행했다. 하지만 14년 동안 이명박정부 국가정보원의 정치 개입, 블로그 닉네임 ‘드루킹’을 사용하는 더불어민주당원 김모씨의 여론 조작 등 여러 기관과 단체에 의해 악용됐다. 공감 수가 높을수록 상단에 표시되는 네이버의 댓글 정렬 방식도 여론조작을 용이하게 만들었다는 지적을 받았다.

네이버는 “뉴스 댓글이 기사를 읽고 가볍게 의견을 남기는 공간으로 출발했지만 사회적 환경 변화에 따라 그 역할과 기능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며 “모든 사용자가 똑같은 정보를 보는 구조에서 사용자마다 다양한 정보를 보는 구조, 사용자가 마음대로 정보를 구성하는 구조로 바꿀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