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전공 기피 현상이 가속화돼 오는 2022년쯤 국내 흉부외과 전문의가 400명 가량 부족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흉부외과는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심장 수술을 담당한다.
이런 추세라면 향후 10년내에 외국에서 수술 의사를 들여오거나 수술을 위해 외국에 나가야 할지도 모른다는 경고도 나왔다.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이사장 오태윤 강북삼성병원 교수) 신재승 기획홍보이사는 24일 국회에서 열린 '대한민국 외과계의 몰락' 정책 토론회에서 이 같은 흉부외과의 암울한 현실을 발표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신경외과학회, 대한외과학회,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대한비뇨기과학회, 대한산부인과학회 등 5개 외과계 학회가 공동 주관으로 열렸다.
신 이사에 따르면 현재 흉부외과는 전문의 배출은 연간 20여명에 그치고 있다. 2011년 이후 전공의 지원율이 필요한 인원의 절반 정도인 48%에 불과하다.
신 이사는 “매년 전공의 지원율이 미달하면서 한해 배출되는 전문의가 부족해지고 전문의 부족에 따른 근무환경 악화와 현재 활동 중인 전문의의 고령화가 겹치며 총체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올해 기준 약 210명의 흉부외과 전문의가 부족한 것으로 집계되며 2022년쯤에는 배 규모인 405명의 전문의가 부족해질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현재 은퇴를 앞둔 의사 수가 매년 배출되는 흉부외과 전문의 수보다 많아지면서 인력난은 더욱 심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25∼2030년에는 현재 활동하는 흉부외과 전문의 275명이 정년을 맞이할 것으로 학회는 예상했다.
신 이사는 "응급, 외상, 중증환자가 많은 탓에 전공의 과정이 힘든 데다 고위험 심장 수술 등 의료사고의 위험, 불안한 진로 문제 등으로 기피 현상이 심각하다"며 "흉부외과 외상 전담 인력을 배출하고 유지하려면 파격적인 대우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날 토론회에선 장진우 대한신경외과학회 이사장이 외과계의 전공의 부족 현상과 하루 14시간 업무 등 열악한 근로 환경과 의료 현장의 문제점을 발표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