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고위 당국자는 24일 4·27 남북정상회담과 관련해 “우리 목표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이고 이번 정상회담은 그것을 위한 과정의 본격적인 시작”이라고 말했다. 또 북한의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를 “비핵화로 가겠다는, 비핵화를 협상으로 접근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당국자는 김정은 정권이 지난해와 180도 달라진 이유로 세 가지를 꼽았다. ①북한의 내부적 변화 ②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③문재인 정권의 일관된 한반도 정책이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끌어낸 배경에 있으며, 세 요인이 종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이날 기자단을 상대로 정상회담 준비상황을 브리핑하며 “실무회담은 어제 마무리됐고 오늘 킨텍스의 ‘판문점 상황실’이 문을 열어 직원들이 근무를 시작했다. 오늘 오후에는 정상회담 준비위 차원에서 1차 현장점검이 있다”고 밝혔다. 25일은 남북 합동 리허설, 26일에는 2차 현장점검이 진행된다.
조 장관은 남북정상회담 의제와 관련해 “3월 29일 고위급 회담에서 1차적으로 논의했고, 그동안 남북이 의제 관련 협의를 해왔다. 아직 협의가 진행 중이다. 고위급 회담이 추가로 열린다면 진행되는 것을 정리할 가능성이 있고 경우에 따라 바로 정상회담에서 의제에 대한 논의를 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3월 29일 고위급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 평화 정착, 남북관계 발전을 중심으로 논의한다는 데 이견이 없었다”고 말했다.
정부 당국자는 “정상회담에서 나올 ‘판문점 선언문’에 비핵화가 명문화될지는 아직 단언할 수 없다”면서 “비핵화 문제가 정상회담 의제에서 중요한 부분이라는 건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이 당국자는 “내일이나 모레 고위급회담이 추가로 열리든, 열리지 않든 큰 차이는 없을 것이다. 실무회담에서 기본적인 사안은 정리돼 있고 의제도 서로 조율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남북정상회담의 특성상 두 정상이 만나 논의하고 조율하고 의견 접근을 이루는 부분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핫라인 통화에 대해선 “정상 간에 회담 전 한 번 통화할 필요가 있는 것인지 아닌지 가능성을 열어두고 논의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여러 남북 채널 가운데 하나를 이용해 이 같은 논의를 진행 중이라는 것이다.
한편 청와대는 이날 4·27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고위급 회담이나 특사단의 재방북이 이뤄지지 않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남북 간에 무슨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라 아무도 문제도 없어서 그렇다고 설명했다. 모든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 굳이 고위급 회담을 열거나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다시 평양에 갈 이유가 별로 없다는 것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정 실장과 서 원장이 다시 방북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정상회담 준비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을 때 문제를 풀기 위해 특사단이 다시 평양에 갈 가능성이 제기됐던 건데, 지금 원만하게 진행되고 있어 굳이 올라갈 필요가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정상회담 준비 과정을 의제, 의전, 경호, 보도의 네 가지 카테고리로 설명하며 “다 해결된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예정된 대로 진행되고 있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핫라인 통화’ 시점에 대해선 “정상회담 직전이 될지, 직후가 될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예정했던 것이 조금씩 바뀌는 상황도 있지만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