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3명 중 2명이 인터넷 댓글 실명제도입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포털 사이트 등 인터넷 악성 댓글과 댓글 여론조작 문제가 정치사회적 문제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tbs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인터넷 댓글 실명제’ 도입 주장에 대한 국민여론을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악성 댓글을 근절하고 타인의 인격권 보호를 위해 찬성한다’는 응답이 65.5%, ‘과도한 통제로, 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으므로 반대한다’는 응답이 23.2%로, ‘찬성’ 응답이 세 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모든 지역, 연령, 이념성향에서 찬성 여론이 우세했다. 특이한 점은 표현의 자유를 중시하는 진보층과 정의당·민주당 지지층에서 보수층과 자유한국당 지지층보다 찬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최근에 발생한 댓글조작 사건의 여파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모든 지역과 계층에서 ‘인터넷 댓글 실명제’ 도입 찬성 여론이 우세한 가운데,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찬성-악성 댓글 근절, 인격권 보호 72.5% vs 반대-과도한 통제, 표현의 자유 침해 20.4%)과 부산·경남·울산(68.4% vs 23.5%), 광주·전라(65.8% vs 25.2%), 대전·충청·세종(62.3% vs 30.8%), 대구·경북(61.9% vs 16.0%), 서울(58.5% vs 25.2%) 순으로 인터넷 댓글 실명제를 찬성하는 여론이 다수인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40대(찬성 71.7% vs 반대 21.8%)와 20대(70.0% vs 25.4%)에서 찬성 여론이 70% 이상이었고, 이어 50대(66.4% vs 24.2%), 30대(61.7% vs 26.9%), 60대 이상(59.2% vs 19.5%) 순으로 찬성이 대다수였다.
지지정당별로는 정의당(찬성 79.4% vs 반대 20.6%)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층(71.5% vs 21.1%)에서 찬성 여론이 70%를 상회했고, 이어 자유한국당 지지층(60.5% vs 25.7%), 무당층(56.5% vs 20.4%) 순으로 나타났다.
이념성향별로는 중도층(찬성 73.3% vs 반대 22.1%)과 진보층(71.4% vs 17.0%)에서 찬성 여론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보수층(50.9% vs 39.2%)에서도 찬성 여론이 절반을 넘었다.
이번 조사는 2018년 4월 17일(화)에 전국 19세 이상 성인 9,919명에게 접촉해 최종 501명이 응답을 완료, 5.1%의 응답률을 나타냈고, 무선(10%) 전화면접 및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통계보정은 2018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 포인트이다.
박재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