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대응팀 관리 ‘지하창고’ 관리 현황·인사 자료 등 보관
‘위장 폐업’ 의혹 해운대센터 등 5곳도 추가 압수수색 실시… 노조 와해 산실 파악한 듯
삼성의 노조 와해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18일 삼성전자서비스 본사를 다시 압수수색했다. 지난 6일 1차 압수수색 때와 달리 특정 장소를 타깃으로 한 ‘핀셋 압수수색’이었다. 전날 삼성전자서비스는 협력사 직원 8000여명을 직접 고용한다는 노사 합의안을 발표했지만 검찰은 삼성 발표와 별개로 수사는 계속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서울중앙지검 공공형사수사부(부장검사 김성훈)는 이날 오전 경기도 수원 영통구 삼성전자서비스 본사 지하 1층 창고를 압수수색했다. 1차 압수수색 때는 확인하지 못했던 장소다. 지하창고는 정보보호그룹이라 불리는 노조 전담 대응팀이 관리하며 지역 서비스센터 관리 현황과 각종 인사자료 등을 보관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그간 삼성전자서비스 사측 관계자들을 잇달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조사하고, 노조 측으로부터도 자료를 제출받아 참고인 조사를 진행했다. 지난 12일에는 삼성전자서비스 남부·경원지사 및 해당 지사와 본사의 임직원 주거지 등 7, 8곳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이들로부터 본사 지하창고의 존재를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본사 지하창고와 함께 부산 해운대, 서울 동대문, 경남 양산, 울산, 강원도 춘천센터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노조활동 전반에 대한 삼성전자서비스의 단계별 대응지침이 담긴 이른바 마스터플랜이 현장에서 실제 실행됐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작업이라고 밝혔다.
해운대센터의 경우 노조가 삼성전자서비스 사측이 노조 탄압을 위해 위장폐업했다고 주장해 온 곳이다. 울산센터에서도 폐업 문제로 노사 마찰이 있었다. 동대문센터는 표적감사 의혹이, 춘천센터는 노조탈퇴 권유 등의 행위가 도마에 올랐던 곳이다. 양산센터에서는 노조원이던 고(故) 염호석씨가 2014년 사망한 뒤 노조와 합의 없이 일방적으로 장례절차가 진행됐다.
검찰 관계자는 “삼성전자서비스가 노조와 합의를 했어도 과거 불법 의혹의 실체를 규명하고 책임 소재를 가리는 수사 방향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