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지상파방송을 ‘어용방송’으로 규정한 뒤 종합편성채널(종편)인 TV조선을 응원했다. 최근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TV조선 종편 허가 취소 청원도 언급했다.
홍준표 대표는 18일 “TV조선을 그들이 왜 없애자고 하는지 이제 국민들이 알 겁니다”라면서 “나는 9시 뉴스는 어용방송은 안보고 TV조선을 봅니다”고 적었다. 그는 “깨어 있는 언론은 국민들이 시청해 주어야 그 힘으로 좌파 폭주를 막습니다”라면서 “TV조선 ! 힘내십시오”라고 덧붙였다.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최근 TV조선에 대한 종편 허가 취소 청원이 올라와 큰 관심을 받고 있다. 18일 현재 14만6000여명이 서명에 참여했다. 청원을 시작한 이는 “과거부터 현재진행형으로 허위, 과장, 날조 보도를 일삼고 국민의 알권리를 호도하는 TV조선의 종편 퇴출을 청원한다”면서 “이념을 떠나 사실에 근거하지도 않은 뉴스를 생산 유통하는 방송사가 더이상 존재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TV조선 종편 허가 취소 청원이 올라온 데는 이 매체가 일명 ‘드루킹 댓글 조작’ 의혹을 처음 보도한 것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안철수 바른미래당 서울시장 예비후보는 14일 페이스북에서 “‘김경수 의원 관련 사실을 보도한 TV조선을 허가 취소하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빗발친다고 한다”면서 “이것이 바로 지금도 활동 중인 제2, 제3의 드루킹들의 행위”라고 주장했다.
TV조선은 14일 드루킹과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텔레그램 메시지를 최초로 보도했다. 닉네임 드루킹을 사용하는 김모(48)씨와 그 일당은 포털사이트 기사 댓글 추천 수를 높여 여론조작을 시도한 혐의를 받고 있다. 김씨 등은 평창동계올림픽 관련 기사에 정부와 여당을 비판하는 댓글에 ‘공감’ 추천 수를 조작한 혐의 등으로 전날 구속기소됐다.
TV조선은 ‘드루킹’ 김씨와 김경수 의원 사이의 텔레그램 대화록이 A4 30페이지 분량이 넘는다면서 친밀한 관계가 아니냐는 의혹을 전했다.
그러나 경찰은 김씨가 여론조작 활동과 관련한 내용을 김경수 의원에게 일방적으로 보냈고, 이를 김경수 의원이 확인하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
김경수 의원은 16일 기자들에게 "김씨가 오사카 총영사, 청와대 행정관 등 인사 요청을 집요하게 해왔고 청와대 측에 추천 내용을 전달한 적은 있다"고 밝혔다. 이후 김씨가 인터넷 영향력을 이용한 협박으로 여겨질 만한 불만을 제기해 거리를 뒀다고 김경수 의원은 부연했다.
신은정 기자 se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