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체중인 사람이 정상 체중인 사람보다 자살시도 같은 극단적 선택을 할 위험성이 2.4배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마른 체형에 집착하는 문화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진표 교수팀은 18∼74세의 한국인 표본집단 5905명을 대상으로 한 정신건강역학조사 결과를 분석해 이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비만과 저체중 여부를 가늠하는 체질량지수(BMI·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를 기준으로 자살을 생각해 보거나 시도해본 경험이 있는지, 매일 스트레스를 얼마나 경험하는지, 삶에 얼마나 만족하는지 등을 평가했다.
그 결과 BMI 지수 18.5㎏/㎡ 미만의 저체중군은 자살을 시도할 위험도가 정상 체중군(18.5∼22.95㎏/㎡)보다 2.4배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특히 이런 상관관계는 자살시도에 영향을 주는 우울증, 불안, 알코올 사용장애와 같은 정신과적 질환을 배제하고도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자살을 생각할 위험도 정상 체중군에 견줘 저체중군이 1.6배, 비만군(25㎏/㎡)이 1.3배 각각 높았다. 체중이 정상 범위에서 벗어난 것만으로도 자살을 생각하는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저체중군은 정상 체중군보다 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릴 가능성이 1.7배나 됐다.
연구팀은 저체중군 중 80%가 젊은 미혼 여성인 점으로 미뤄볼 때 실제로는 뚱뚱하지 않은데도 자신을 비만하다고 오인하는 경향이 결국은 큰 스트레스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홍진표 교수는 "마른 몸매가 성공적인 자기 관리로 치부되는 한국 사회에서 금식 구토, 과도한 운동 등과 같은 부적절한 체중 조절 행동이 자칫 위험 행동을 촉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Psychiatry Investigation) 최근호에 발표됐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