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은 1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셀프 후원’ 위법 판단으로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이 결국 사의를 표명한 것에 대해 조국 민정수석의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청와대는 선관위가 지적한 정치 후원금 기부 행위는 애초 민정의 인사검증에서 빠졌던 부분이라고 밝혔다.
전희경 한국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조 수석은 김 원장 사태는 물론 1년간 벌어진 인사 참사의 책임을 져야 한다”며 “인사검증자가 아닌 김기식의 동지이자 변호인을 자처했던 조 수석은 더 이상 그 자리에 있어서는 안 되는 부적격자”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권성주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잘못된 인사를 강행하기 위해 엉뚱한 기관까지 동원하며 국정혼란을 야기한 청와대의 총체적 책임을 철저히 물어야 한다. 조 수석의 즉각 사퇴는 말할 것도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경환 민주평화당 대변인도 “인사권자인 대통령이 직접 결정하지 못하게 하고 선관위 결정으로 금감원장을 사퇴하게 만드는 상황까지 몰고 온 것에 대해 청와대 인사 라인과 민정 라인의 총사퇴를 촉구한다”고 했다.
반면 정의당은 김 원장이 여태까지 보인 금융개혁 의지 등을 봤을 때 사의 표명이 “안타까운 일”이라는 입장이다. 추혜선 정의당 수석대변인은 “이번 일로 금융개혁이 좌초되지 않도록 문재인 대통령은 더욱 개혁 의지가 강력한 인물을 신임 금감원장으로 임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청와대는 이처럼 급속도로 확산되는 ‘민정 책임론’에 김 원장의 정치자금 관련 부분은 검증에서 빠져있던 부분이라고 해명했다.
청와대에 따르면 김 원장은 2016년 19대 국회의원 임기 말 선관위에 잔여 정치자금을 기부하는 것에 대한 위법 여부를 문의했다. 김 원장은 선관위의 답변을 문제없다고 해석했고, 민주당 전·현직 의원 모임인 ‘더좋은미래’에 5000만원을 기부한 후 신고까지 했다. 선관위는 이에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다.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이후 금감원장에 임명되는 과정에서 민정의 인사 검증 설문지에 관련 항목이 없었기 때문에 김 원장이 신고하지 않아 검증도 이뤄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