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페이’ 도입 공약… ‘삼성페이’와 경쟁?

입력 2018-04-15 15:45

3선 도전을 선언한 박원순 서울시장이 가칭 ‘서울페이(Seoul-Pay)’ 도입을 공약했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한 정책이다. 신용카드 수수료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결제 시스템을 개발해 공급하겠다고 약속했다.

박 시장은 15일 보도자료를 통해 “서울페이를 이용하면 소비자와 판매자 간 신용카드 거래에 수반되는 연회비, 가입비, 단말기 설치비, 통신료(VAN수수료)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서울페이는 계좌이체를 기반으로 한 지급결제 플랫폼이다. 박 시장은 “자영업자의 수익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가 올해 초 시행한 '소상공인 신용카드 수수료 실태조사'에 따르면 자영업자들의 영업이익 중 적게는 3%, 많게는 50%가 신용카드 수수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박 시장의 서울페이 공약은 신용카드사를 통한 수수료 인하 대책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직접 결제수단을 개발해 자영업자들을 지원하겠다는 것이라고 한다.

박 시장은 이와 함께 ▲1인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고용보험료 20%를 지원하는 '서울형 자영업자 실직안전망' 추진 ▲자영업자가 아파서 입원할 경우 최대 15일까지의 근로소득을 서울시가 지원하는 '서울형 유급병가' ▲대기업의 불공정 갑질로부터 영세 자영업자 보호 ▲임대료의 급격한 인상에 대비, 자영업자에 상가매입비의 최대 80%를 장기저리로 대출 ▲장기안심상가 200개 조성으로 장기 임대료 동결 지원 등도 약속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