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사실상 무산…‘일본 방해’

입력 2018-04-15 14:34
사진=뉴시스

유네스코(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집행이사회가 위안부 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심사 절차를 사실상 중단시켰다.

15일 산케이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유네스코 집행이사회가 지난 12일 세계기록유산 제도 개혁을 위한 오드레 아줄레 유네스코 사무총장의 행동계획안 수정을 요구할 방침을 결정했다.

산케이 신문은 그럴 경우 2018년~2019년 세계기록유산 신규 등재가 어려워짐에 따라 지난해 10월 연기된 위안부 기록의 등재 심사가 상당 기간 동결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등재 심사는 2년에 한 번씩 실시되며 유네스코 집행이사회는 일본을 비롯한 58개국으로 구성되며 기구 운영을 확정한다.

유네스코 관계자에 따르면 집행이사회가 아줄레 사무총장에게 새로운 행동계획안을 오는 10월에 제출하도록 요청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집행이사회는 회의 마지막 날인 17일 세계기록유산 개혁과 관련해 사무총장에 “회원국과 심도 있는 대화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은 이번 회의에서 위안부 기록 등재 심사 일정이 늦춰진 것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보내긴 했지만 강력히 반대하지는 않았다고 산케이 신문은 전했다.

한편 일본은 회원국의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대한 관여를 확대하자고 주장하면서 자국에 부정적인 위안부 기록의 등재를 방해하고 있다.

2015년 중국이 신청한 ‘난징 대학살 기록’이 일본의 집요한 반대에도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자 일본은 유네스코에 대한 재정 부담을 이용한 영향력을 행사해 심사체제의 개혁을 주장하고 나섰다.

지난해 10월 한중일 민간단체 등이 신청한 위안부 자료의 등재는 일본이 거세게 반대하면서 심사가 연기됐다.

신혜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