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의 슬픔은 현재진행형…주말 광화문광장서 세월호 4주기 추모 집회 열려

입력 2018-04-14 22:42
14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세월호 4주기 추모 집회가 열렸다. 오는 16일은 304명의 사망자를 낸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지 꼭 4년 되는 날이다.

4·16가족협의회와 4·16연대 등은 이날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4·16 세월호참사 4주기 국민 참여행사’를 열었다. 전명선 세월호 참사 가족협의외 운영위원장은 “4년간 철저히 깨우친 것은 한 사람의 힘으로, 정권의 힘으로, 단체의 힘으로 사회는 바뀌지 않는다”며 “민주정권을 앞당긴 것은 촛불 국민의 깨어있는 정신과 마음”이라고 했다.

전 위원장은 박근혜 전 대통령이 세월호참사에 대한 법적 책임을 져야한다고 강조했다. 전 위원장은 “박 전 대통령에게 징역 24년이 선고됐지만 세월호와 관련된 부분은 없다”며 “박근혜 청와대는 오로지 한 명의 안위만을 지키기 위해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을 은폐·축소하려했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29일 검찰이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박 전 대통령은 2014년 4월 16일 당일 오전 관저 침실에서 휴대전화도 받지 않고 있다 승객 구조의 골든타임 후에야 첫 상황 보고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날 오후 5시15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방문 전 까지 ‘세월호 7시간’동안 한 일은 최순실씨와 ‘문고리 3인방’이 함께한 관저회의가 전부인 것으로 밝혀졌다. 세월호가 바다로 가라앉던 그 시간 박 전 대통령은 침실에만 머물러 있었던 것이다.

검찰은 세월호 참사 당일 기록 조작에 관여한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김장수·김관진 전 국가안보실장 등 4명을 불구속 기소했다. 해외 도피 중인 김규현 전 국가안보실 1차장에 대해선 체포영장을 발부 받아 지명수배 및 기소 중지했고 현역 군인인 신인호 전 위기관리센터장은 군 검찰로 이송했다.

전 위원장은 “세월호 특조위가 강제 해산되고 아이들의 고귀한 희생에도 불구하고 박근혜정부로 인해 아직도 진실이 밝혀지지 못하고 있다”며 “이번에야말로 꼭 세월호의 진상을 철저히 조사해 제2의 세월호 참사가 없는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게 해달라”고 호소했다.

이날 집회에 참석한 박원순 서울시장은 “수면 아래 가라앉은 그날의 진실을 조금씩은 들어올리고 있지만 자식과 부모, 친구를 잃은 슬픔은 여전하다”며 “슬픔을 위로하고 치유하기 위해서는 진실이 온전히 밝혀져야한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우리 아이들이 안전하게 집으로 돌아올 수 있는, 국가가 국민을 온전히 책임지는 나라를 만들자는 마음과 각오로 유가족들을 보듬자”며 위로의 말을 건네기도 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