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토론 기피 비난에 정면 돌파 선언…전해철·양기대 “뒤늦은 결정”

입력 2018-04-11 17:50
왼쪽부터 이재명, 전해철, 양기대 후보 (사진=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경기지사 예비후보가 경선 상대인 전해철·양기대 예비후보의 토론 요청을 전격 수용했다.

이재명 예비후보는 11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중앙당 주최는 물론 공신력 있는 기관이 주관하는 토론회는 횟수와 주제에 관계없이 전폭적으로 수용한다”고 밝혔다.

다만 이 후보는 “국회의원 아닌 예비후보는 후원이 금지된 관계로 후보의 사비부담이 과중하지 않기를 바란다”며 이는 “중앙당 주최 토론회, 권리당원들이 제안한 토론회, 토론회 TV 중계 등 경선 토론회가 어떤 형태로 결정되더라도 모두 받아들이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사진=이재명 트위터(@Jaemyung_Lee) 캡처

앞서 전해철 예비후보는 지난 2일 경기도지사 경선 후보자들의 토론회 개최를 공식 요청했다. 또 지난 9일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서 “경기·인천지역 모 방송사에서 제안한 경선 후보 초청토론회를 성사시켜야 한다”며 지속적으로 토론회 개최를 요구해 왔다.

다른 경선 주자인 양기대 예비후보도 “이 후보의 잇따른 토론 및 방송 출연 회피로 더불어민주당의 경기도지사 경선이 후보자의 정책과 자질을 제대로 검증하지 못하는 ‘깜깜이’선거가 되고 있다”고 가세했다.

양 후보는 지난 9일 13번째 공약 발표 자리에서 “일부 TV 방송이나 팟캐스트 또 인터넷 방송 등에서 저희 후보 3명에게 TV 토론회나 방송 토론을 제안했는데 그럴 때마다 이재명 후보가 다 반대를 했다”면서 “저와 전해철 후보 입장에서는 응답 없는 메아리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양 후보는 “정책과 도덕성 검증이 당연한데 그 기회를 박탈하고 경기도 같이 큰 광역단체가 후보도 제대로 된 검증 없이 선거를 치른다는 것은 도민들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고 꼬집었다.

반면 이 후보는 “권역별 토론은 선수는 가만히 있고 심판의 판단에 맡기면 된다. 웬만하면 받아주려고 한다”며 “하지만 너무 지나치면 후보 간 갈등이 벌어지고 지지층 간 분열이 발생한다. 당이 정해준 대로 따르겠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이날 이 후보가 경선 토론을 전격적으로 받아들이면서 그동안 토론회를 놓고 오갔던 후보간의 공방은 일단락 될 전망이다. 이 후보의 토론 수용 방침에 따라 오는 16일 당이 주최하고 공중파 방송에서 방영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경기도지사 경선 후보 첫 토론회도 성사 가능성이 높아졌다.

하지만 이 후보의 토론회 수용 입장과 관련해 전해철, 양기대 후보 측은 경선이 일주일 여 남은 시점에 이뤄진 “뒤늦은 결정”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사진=전해철 트위터(@HaeC_J) 캡처

전 후보 측은 “경기도지사 경선을 위한 토론 요청을 수용하는 것은 후보자로서 당연한 일이다. 환영하지만 지금까지 입장 표명을 미루다가 경선을 불과 7일 앞두고 밝히니 시간이 촉박해졌다. 토론기회가 현실적으로 많지 않다. 빨리 구체적 합의 할 수 있도록 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 후보는 한 매체를 통해 “이 후보의 토론 수용은 오만방자하다는 생각이다. 신속하게 여러 차례 토론을 해서 의혹이 있다면 해명을 해야 했다. 토론의 수용 여부가 중요한 게 아니라 후보의 자세가 이렇다면 반드시 당원과 도민들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신혜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