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월성1호기를 1년 안에 없애겠다”는 발언을 예정대로 실행에 옮길지 귀추가 주목된다.
9일 원자력계에 따르면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승인한 월성1호기를 문대통령이 1년안에 없애겠다는 시점이 오는 6월 17일로 다가오면서 국론이 양분되고 있다.
월성1호기는 6500억원을 투입해 리모델링을 끝낸 상태이기 때문에 10년은 더 쓸 수 있다는 것이 원자력계의 기본 입장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반면 월성 1호기 주변 주민은 월성 1회기의 설계 수명 30년에서 또다시 리모델링을 통해 10년을 연장하는 것은 안된다는 입장이다.
이같은 국론분열 상황에서 세계적인 원전수주경쟁의 꽃이라고 불리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원전 5∼6기를 동시에 발주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우리나라의 원전 시공능력을 국제사회가 필요로 하는 상황이라는 분석이 대두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계속 원전축소정책을 고수할 것인지, 국제사회의 요구에 따라 변화된 입장을 보일지 여부는 월성1호기의 사용여부가 바로미터가 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월성1호기를 계속 사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가진 원자력계에서는 세계 1위의 원전가동률이 98%수준에서 현재 50%로 추락된 것은 천문학적인 규모의 국민세금 낭비라고 지적하고 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6월 17일 월성1호기 가동중단 여부 중대기로
입력 2018-04-09 21:31 수정 2018-04-09 2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