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9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의 위상에 대해 “핵 문제와 부분적으로 외교까지 포함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조 장관은 이날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지난달말 북·중 정상회담 때도 김정은 국무위원장 바로 옆에 앉았다. 이용호 외무상이나 이수용 노동당 국제담당 부위원장보다도 옆이었다”며 “김 통전부장이 (대남사업을 총괄하는 통전부장이지만) 남북 문제보다 더 넓고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구나 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오는 27일로 예정된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18일쯤으로 예상되는 남북고위급회담과 관련해 “18일쯤 점검하고 나면 20일 넘어가면서부터는 완전 현장체제로 가야한다”며 “회담 형식으로 정리하는 건 그 언저리가 마지막 수순이 되고, 이후부터는 현장 중심으로 갈 것”이라고 했다.
남북관계 발전 관련 의제에 대해서는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과 함께 제재의 틀 안에서도 교류협력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을 꼽았다. 조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도 강조했듯 과거 합의사항을 최대한 존중하고 앞으로 합의사항이 만들어진다면 그걸 제대로 이행해나가는 게 중요하다”며 “지속가능한 남북관계를 위한 제도화 장치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교류협력도 제재 틀 범위 내에서 할 수 있는 것들, 이를테면 지난번 평창올림픽처럼 체육분야 교류를 포함해 하나의 아이템을 고민중”이라고 했다.
조 장관은 북한이 생각하는 비핵화가 우리가 생각하는 CVID(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와 같느냐는 질문에는 “조선신보 등에 나오는 걸 보면 북한이 굉장히 연구를 많이 했다는 생각이 든다”며 “비핵화 문제를 외부는 어떻게 보고 있는지, 미사일 등이 어떤 입장인지 북한이 나름대로 국제사회의 분위기를 잘 파악하고 있다”고 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