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김정은 공식 호칭은 ‘노동당 위원장’ 아닌 ‘국무위원장’

입력 2018-04-05 13:50

남북정상회담에서 정부가 사용할 김정은의 호칭이 ‘국무위원장’으로 정리됐다. 통일부 당국자는 5일 기자들과 만나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공식 호칭이고 약칭으로 김정은 위원장이라고 많이 불리는 것 같다”면서 “정상회담에서 사용할 양측 호칭은 대통령과 국무위원장”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2000년과 2007년 남북정상회담에서도 ‘김정일 국방위원장’이란 호칭을 썼다”면서 “정상회담의 카운터파트는 국무위원장”이라고 덧붙였다. ‘노동당 위원장’은 당을 대표하는 직함이어서 정부의 수반임을 의미하는 ‘국무위원장’을 공식 호칭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청와대 관계자도 김 위원장의 공식 호칭을 묻는 취재진 질문에 “국무위원장이다. 우리는 계속 김정은 국무위원장이라고 써왔다”고 답했다.

당(黨) 정(政) 군(軍)을 모두 장악한 김 위원장은 조선노동당 위원장, 국무위원회 위원장, 인민군 최고사령관 등 여러 직함을 갖고 있다. 이 가운데 당이 국가 최상위 기구인 북한 체제의 특성을 고려해 그동안 노동당 위원장이란 호칭이 더 많이 사용돼 왔다.

하지만 과거 김정일이 노동당 총비서가 아닌 국방위원장 직함으로 두 차례 남북 정상회담에 임한 전례를 감안해 김정은 국무위원장으로 호칭을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국무위는 김정일 시대의 기구였던 국방위가 사실상 이름만 바꾼 기구다.

최근 남북 교류 과정에서 북한 인사들도 줄곧 ‘국무위원장’이란 호칭을 사용했다. 김 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도 2월 10일 문재인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국무위원장의 특명을 받고 왔다"고 했고, 김영철 통일전선부장도 남측 예술단의 평양 공연 당시 취재 불편을 사과하며 “국무위원장께서 오신 행사”라고 표현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한국과 북한이) 나라 사이의 관계는 아니지만 특수 관계에서 우리 대통령의 격에 맞는 북한의 명칭을 2000년 및 2007년 회담에서도 그렇게 불렀고 지금도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을 국무위원장으로 부르는 게 북한을 국가 간의 정상적 파트너로 인정하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그 특수한 관계가 변한 것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