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현재 16억원 수준인 남북교류기금을 오는 2022년까지 100억원으로 늘려 교류사업을 활발히 펼치기로 했다고 5일 발표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인천은 접경지역으로 여러 분야에서 제한을 받는 반면 통일이 되면 가장 경쟁력있는 도시가 될 것”이라며 “남북 상황과 북한 비핵화 등을 고려해 통일기반 조성사업을 강력하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 시장은 또 “한강하구의 관광·문화사업은 경제적 수익 창출 뿐아니라 남북 평화의 상징이 될 것”이라며 “철저한 준비로 통일시대를 선도하는 인천이 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시는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남북 사이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는 것을 계기로 남북 중립지역인 한강하구를 배경으로 관광·문화사업을 추진하고, 서해5도의 평화정착을 위해 남북 공동어로와 수산자원 개발사업도 전개하겠다는 입장이다.
시는 또 이북 5도민 등 실향민의 복지향상과 통일시대를 대비한 ‘통일회관’ 건립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는 통일을 대비한 기반 조성사업도 적극 추진한다. 국정과제이기도 한 서해평화협력 특별지대의 선도사업이자 시의 현안사업인 영종도∼신도∼강화도 연도교 건설 사업, 서해5도 평화 정착을 위한 남북한 공동 어로와 수산물 공동 판매, 교동도 평화산업단지 조성 등이 그것이다.
서해 남북평화 연도교 구축 사업은 영종도 공항신도시∼옹진군 북도면 신도∼강화도 사이 14.6㎞(왕복 4차로)를 연결하는 것으로 6398억원(영종∼신도 1501억원, 신도∼강화 4897억원)이 투입돼야 완공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시는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상 민자사업을 재정사업 및 민자사업으로 변경해 추진하기위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남북한 중립지역이자 자연 생태계가 잘 보존돼 있는 한강 하구의 역사·문화·생태 등 자원을 활용한 관광·문화사업을 경기도와 공동으로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시는 오는 10월까지 강화·교동지역 자산을 활용한 통일기반조성 방안에 관한 연구 용역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시는 한강하구의 생태자원을 연구할 생태교육센터 설립도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올해 고려 개국 1100년을 기념한 남북한 역사학자가 참여하는 국제학술회의 개최, 남북한 미술작가 교류전, 2015년 이후 중단된 스포츠 교류 재개 등 남북 교류사업을 남북‧북미 정상회담과 UN 대북제재 완화 등의 추이에 따라 추진할 예정이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대북사업은 선언적인 의미에 그칠 수도 있어 실제 실행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시는 통일준비 선도 사업으로 최근 중앙 정부의 국내 첫 통일센터를 유치해 올 하반기 문을 연다.
통일센터는 탈북민 정착지원을 위한 지역 하나센터와 통일교육 담당 기관인 통일관을 통합한 것으로 탈북민 취업교육, 남북교류 협력사업, 평화통일 교육 등의 업무를 하게 된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