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제주지사가 제70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데 대해 깊은 감사를 표했다. 대통령이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한 것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12년만이다.
원 지사는 3일 4·3 생존자 및 유족 위로 오찬에서 환영사를 통해 “제70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을 4·3 영령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대통령을 모시고 치렀다. 무엇보다 문재인 대통령 내외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족들과 도민들이 대통령에게 느끼고 있는 감동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고 했다.
그는 특히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께서 4·3 위령제에 참석했던 당시엔 여러 가지 여건상 유족들이 충분히 참석을 하지 못했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대통령 경호에 따르는 여러 가지 제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표 배열을 최소화시키는 등의 노력을 해주셔서 우리 역사상 가장 많은 유족이 대통령과 4·3평화공원에 올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통령께서 추념사를 통해 4·3 희생자와 유족뿐만 아니라 4·3 기억을 지키기 위해 어렵게 고생했던 분을 일일이 거명하시면서 감사와 미안함을 표해 주셨다”며 “저도 중간에서 눈물을 흘리고 훌쩍이는 소리를 들었다. 아마 유족들과 4·3의 기억을 지키기 위해서 노력하신 많은 분들이 대통령의 위로와 감사의 말씀에 그동안의 복받침과 설움들이 녹아내렸을 것”이라고 거듭 고마움을 표했다.
그는 “대통령께서 국가공권력에 의한 폭력의 행사로 무고하게 희생된 제주도민들에 대해 진정으로 사과를 해주셨다. 앞으로 4·3의 역사를 치유해 나가면서 한길로 나아가는데 진보와 보수의 진영과 이념을 넘어서 제주도민들이 감동하고 진정으로 동참하리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제주 4·3 사건에 대해서는 “미완의 과제들이 남았다. 희생자 및 유가족에 대한 배·보상 문제, 트라우마센터 설립 문제, 군사재판 무효화 등이 제주4·3특별법에 담겨 있다”며 “국회에서 본격적인 심의 첫 발을 떼지 못하고 있다. 제주도도 노력을 하겠지만 중앙정부 차원에서 관심을 가져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남북정상회담을 성공적으로 치르고 남북미 정상회담을 이곳 제주에서 열어주시길 바란다. 4·3특별법 개정과 남북미 평화회담 제주 개최는 4·3 영령들께 드리는 가장 큰 선물이 될 것”이라고 했다.
전형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