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제주 4‧3 사건 추념식에 참석한다. 이번 추념식 참석은 문 대통령이 대선 후보시절 ”대통령 자격으로 오겠다“고 한 유족과의 약속을 지킨 것이다. 4‧3 추념식에 현직 대통령이 참석하는 것은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12년 만으로 2번째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슬픔에서 기억으로, 기억에서 내일로’ 주제로 제주 4‧3평화공원 일원에서 행정안전부 주최·제주특별자치도 주관으로 열리는 ‘제70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유족들을 위로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추도사에서 이념으로 인한 희생자가 더 이상 나와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를 전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국가책임을 인정하고 공식 사과에 나설지는 미지수다.
제주4·3사건은 1947년부터 1954년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간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제주4·3사건 진상조사 보고서, 2003년)이다.
진상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1947년 3월1일 제주시에서 열렸던 3‧1절 기념 대회에서 경찰의 말발굽에 아이가 치여 넘어져 시민들이 항의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경찰이 총을 발사했고 시민들은 이에 분노했다.
이듬해 4월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무장봉기를 했고 제주도민이 합세해 탄압 중단과 함께 남한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했다. 진압이 심해지면서 같은 해 10월부터 본격적인 ‘학살’이 이어졌고 급기야 제주도민의 10분에 1인 3만 명이 희생당했다.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4·3 희생자 70주년 추념식에 대통령 자격으로 오겠다”고 강조했었다. 경선을 통해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로 선출된 후 지난해 4월18일 제주 4‧3 평화기념관에서 유족들과 만나 “정권교체를 하면 민주정부는 4‧3 추념식을 대통령이 참석하는 국가적인 추념행사로 격을 높이겠다”고도 했었다.
당시 문 대통령은 “희생자 유족 신고를 상설적으로 받고 가족 품에 돌아가지 못한 유해를 국가가 유전자 감식을 지원해 가족 품에 안기게 하겠다”며 “진상규명도 마무리하고 명예롭게 하겠다. 희생자 유조들에 대한 트라우마 치료를 국가가 책임지겠다. 피해 유족들에 대한 생활비 지원도 제주도 차원이 아닌 정부가 맡겠다”고 강조했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