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대학입시 정책 기조를 정시모집 확대로 뒤집으면서 학부모와 수험생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교육부는 수능 위주의 정시모집을 줄이고 학생부 위주의 수시모집을 확대한다는 기조를 유지해 왔다. 선거를 앞두고 대입정책을 손바닥처럼 뒤집고도 정작 학교 현장에는 설명조차 없었다는 비판이 거세다.
이진석 고등교육정책실장은 2일 “수시와 정시 비중이 8대 2 수준으로 쏠림 현상이 심해졌고 9대 1까지 확대될 조짐도 보였다. (2022학년도 수능을 위한) 대입정책 포럼 등에서도 정시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며 정시 확대를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교육부는 지난 10여년간 유지된 수시 확대 기조에서 정시 확대·유지 쪽으로 선회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박춘란 차관이 서울대와 고려대 총장을 직접 만나고 이화여대 중앙대 경희대 총장에게는 전화해 정시모집 비율을 유지하거나 확대해 달라고 요청했다. 연세대도 “2020학년도 입시에서 정시모집을 늘리고 수능 최저기준을 폐지하겠다”고 밝혀 학교 현장은 혼란에 휩싸였다.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해 취임 이후 수능 절대평가 전환을 추진해 왔다. 수능의 대입 영향력을 줄이려는 조치인데 느닷없이 수능 위주의 정시를 교육부가 들고 나오니 학생 학부모는 물론이고 입시업체마저도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
교육부는 정시 비중을 늘리는 2020∼2021학년도 방향이 오는 8월 발표되는 2022학년도 대입 개편안에도 영향을 주는지,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책 기조가 바뀐 이유가 무엇인지 제대로 답변하지 못했다. 이 실장은 “(정책 전환에) 청와대와 교감은 없었다”고 선을 그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