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동우회 “아산참사 충남, 소방인력 확충 미적거려” 비판

입력 2018-04-02 15:17 수정 2018-04-02 15:39
2일 오전 충남 아산시 이순신체육관에서 열린 순직 소방공무원 3명의 합동영결식에서 동료 소방관들이 시신을 들고 운구차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지난달 30일 충남 아산소방서 소속 소방공무원 한 명과 교육생 두 명이 불의의 사고로 숨을 거둔 가운데, 이번 사건이 소방대원 인력 부족 탓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와 더불어 충남도에서 소방인력 확충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려 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며 비판이 일고 있다.

대한민국재향소방동우회(이하 소방동우회)는 2일 ‘충청남도 행정부지사 규탄 성명서’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알렸다. 소방동우회 측은 유족들에게 애도를 전하며 “소방공무원은 만성적인 인력 부족에도 위험에 처한 국민의 요청에 최후의 순간까지 응답한다는 사명감으로 일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 정부의 소방청 신설, 소방공무원 국가직 전환 추진 등을 언급하며 “충청남도 또한 (소방공무원의) 안전에 대한 투자 확대를 약속했으며 연차적으로 소방공무원을 확충하는 계획을 수립·진행 중이었으나 도지사 궐위로 행정관료들이 전권을 장악하자마자 모든 계획을 재검토했다”고 주장했다.

소방동우회는 남궁영 충남지사 권한대행 행정부지사를 향해 “도지사 궐위 6일 만에 기존 지사 및 행정부지사 본인이 직접 서명한 소방력 확충계획을 전면 재검토하라는 지시를 하여 충남 도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민주주의의 원리를 왜곡했다”고 비판했다.

지난달 27일 충남도는 현장활동 소방인력을 연차적으로 1660명 충원하겠다고 계획했던 기존 확충계획에 대해 “소방본부가 세운 인력 계획이 과도하게 산출됐다” “소방특별회계를 통합 운영한다”는 이유를 대며 700명 선으로 축소하겠다고 밝혔다. 부족한 소방인력은 의용소방대 역량강화, 민간 유휴자원 활동 등을 통해 대체하겠다고 덧붙였다. 논란이 일자 충남도 측은 이를 하루만에 철회했다.

3월30일 아산소방서 둔포안전센터 근무자 현황(대한민국재향소방동우회 제공)

소방동우회는 숨진 소방대원들이 소속돼 있던 아산소방서 둔포안전센터의 근무자 현황을 예로 들며 도의 입장을 반박했다. 사고 당일 둔포안전센터의 근무 인원은 실습생을 제외하고 6명(센터장 1명, 부센터장 1명, 펌프차 2명, 구급차 2명)으로, 화재출동과 구급출동을 대기하는 대원 각각 2명을 제외한 2명이 생활안전출동을 전담했다. 운전원을 제외하면 한 명만이 활동해야 하는 상황이다. 30일 일어났던 참사의 피해 소방관 역시 운전할 대원 한 명, 실습생 두 명과 함께 현장을 찾았다 변을 당했다.

소방동우회 측은 “아산소방서의 관할 인구는 32만명으로, 대전광역시 1개 자치구 정도의 인구”라며 “그러나 외곽119안전센터 인력은 한 팀당 5~6명으로 같은 구역에 8명 정도 배치되는 대전에 비해 한참 모자라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충남지사 권한대행의 소방력 보강 계획 재검토 지시 취소 및 사과 ▲소방력 보강 계획이 재검토된 과정에 대한 행정안전부 차원의 감사 실시 및 재발방지대책 마련 ▲소방공무원 국가직 전환 실행 촉구를 요구했다.

한편 이날 오전 아산시 이순신체육관에서는 순직한 소방관과 교육생 2명을 위한 합동 영결식이 열렸다. 유족을 비롯해 소방공무원과 의용소방대원 등 800여 명이 참석했으며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남궁영 충남지사 권한대행, 유승민 바른미래당 대표, 양승조·이명수 국회의원 등도 자리를 함께 했다.





우승원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