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무대왕함 급파 결정은 누가 내렸나…합참의장은 ‘출동 준비’ 지시

입력 2018-04-02 15:03 수정 2018-04-02 15:44
우리 국민 3명이 가나 해역에서 피랍된 지 이틀 만에 청해부대 문무대왕함(사진)이 사고 해역을 향해 긴급 출동했다. 사고 해역까지 가는 데 15일가량 걸리는 만큼 ‘늦장 출발’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경위를 설명하는 군 당국 역시 갈팡질팡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2일 오전 국방부 정례 브리핑에서 문무대왕함 급파와 관련한 질문에 “합참의장의 건의에 의해서 군 통수권자의 지시를 받은 것”이라고 답변했다. 정경두 합참의장이 출동 건의를 했고 문재인 대통령이 이를 승인했다는 취지다.

그런데 합참은 오후 기자단 공지를 통해 브리핑 내용을 정정했다. 공지 내용은 이렇다. ‘문재인 대통령은 아랍에미리트 순방 중 가나 해역에서 피랍된 마린711호 사건에 관해 보고를 받고, 지난 3월 28일 새벽 귀국한 직후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에게 청해부대를 피랍 해역으로 급파해 피랍된 우리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최선을 다하라고 지시했다.’

오전 브리핑과 달라진 부분은 ‘문 대통령의 급파 지시에 앞서 합참의장 건의가 있었다’는 내용이 빠져 있다는 점이다. 합참 관계자는 “합참의장이 지난 3월 27일 새벽 ‘상부 지시에 대비해서 청해부대가 (사고 해역) 현장에 도착할 수 있는 준비를 하라’는 지시를 했는데 이를 군 통수권자에 대한 건의로 해석했다”고 해명했다.

문무대왕함은 오는 16일쯤 사고 해역에 도착할 예정이다. 지난 3월 28일(현지시간) 오만 살랄라항 앞바다에서 출발했으며 현재 탄자니아 인근 해역을 지나고 있다. 문무대왕함에는 청해부대 소속 해군 특수전 요원(UDT/SEAL)이 탑승해 있다. 특수전 요원들은 긴급 상황이 벌어질 경우 해적 퇴치 작전에 투입될 수 있다. 청해부대는 2011년 1월 소말리아 해적에 납치된 한국 화물선 삼호주얼리호 선원을 전원 구출한 ‘아덴만 여명’ 작전을 수행한 바 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