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비닐 대란’이 끝났다. 환경부가 수도권 재활용품 업체 48곳과 협의해 폐비닐 수거를 정상화했다.
환경부는 2일 보도자료를 내고 “48개 (재활용품) 업체와 협의해 폐비닐을 수거하기로 결정했다”며 “수도권 재활용품 업체에서 당초 폐비닐 수거 거부 통보가 있었지만, 재활용품 가격 하락을 감안한 정부의 지원책을 설명하고 아파트·수거업체 간 재계약을 독려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이날 중으로 수도권 아파트에서 폐비닐 수거를 시작하면 혼란도 사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면서 “폐플라스틱 등 재활용품 상황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폐비닐, 일회용컵 등 플라스틱 사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종합 대책을 조만간 마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환경부는 일부 재활용품 업체에서 수익 악화를 이유로 수거 대상 아파트 관리사무소를 통해 쓰레기 배출을 잘못 안내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폐비닐 등 재활용품을 종량제봉투에 담아 배출하도록 안내한 아파트 등을 상대로 안내문을 제거하도록 조치하고 현장 점검에 나섰다.
신선경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지자체·유관 기관과 함께 비상체계를 가동해 국민 불편 상황을 해소하고 재활용품 업계에 대해 적극적인 지원책을 추진하겠다”며, “플라스틱 등 문제가 되는 재활용품에 대해 신속한 추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
☞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