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3%대 성장세 회복… GNI ‘3만 달러’ 선진국 문턱

입력 2018-03-28 13:17


지난해 국내 경제성장률이 3.1%를 기록했다. 2014년 3.3% 이후 3년 만에 3%대 성장을 회복했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국민계정(확정) 및 2017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대비 3.1% 성장했다. 연간 성장률은 2015년(2.8%), 2016년(2.9%) 2년 연속 2%대에 머무른 뒤 3년 만에 3%대로 올라섰다. 명목 GDP는 1730조4000억원으로 전년대비 5.4% 늘어났다.

지난해 업종별 성장률은 △농림어업 0.3% △제조업 4.4% △건설업 7.1% △서비스업 2.1%로 각각 집계됐다. 건설업 성장세는 전년 10.1%에서 다소 꺾였으나 2016년 2.4%에 그쳤던 제조업 성장률이 소폭 반등했다.

지난해 1인당 GNI(국민총소득)는 2만9745달러(약 3363만6000원)로 나타났다. 1인당 GNI란 ‘국민이 국내외 생산 활동에 참가하거나 생산에 필요한 자산을 제공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를 말한다. 통상적으로 한 국가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는 선진국이라는 상징성을 가진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덴마크 등 25개국만이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를 넘겼다.

한국은 2006년 이후 12년째 1인당 국민소득이 2만달러대에 정체됐었다. 전문가들은 “올해 경제위기 등 시장에 큰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선진국’대열인 3만달러에 진입할 것”이라 전망했다.

박재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