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맥내 재개통 뇌졸중 치료, 골든타임은 10시간”

입력 2018-03-27 11:16
급성 허혈성뇌졸중 환자에게 실시하는 동맥내재개통 치료의 ‘골든타임’ 기준을 10시간으로 재정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은 영상의학과 김병문(사진) 교수 연구팀이 전국 16개 대학병원을 찾은 급성 허혈성뇌졸중 환자들의 뇌CT 사진을 비교분석한 결과 뇌혈관 측부 혈류가 잘 순환되고 있는 환자의 경우 발병 후 늦어도 10시간 이내 동맥내재개통치료를 실시하면 큰 후유증 없이 건강을 회복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최장 6시간을 넘겨선 안 된다는 기존의 동맥내재개통 치료기준보다 3시간 가까이 연장된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병원은 연세대 세브란스병원과 강남세브란스병원을 비롯해 삼성서울병원, 건국대병원, 중앙대병원, 강동경희대병원, 고려대 안암병원 및 구로병원, 한양대병원, 한림대 강동성심병원, 부산대 양산병원, 인제대 부산백병원, 일산백병원, 차의과학대 분당차병원,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전북대병원 등이다.

동맥내재개통치료는 최근 국제적 임상연구들이 인정하는 급성허혈성뇌졸중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대퇴동맥에 작은 도관을 삽입해 직접 막힌 뇌혈관에 접근, 뇌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을 몸 밖으로 끄집어내는 치료법이다.

연구팀은 2010년 9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국내 16개 대학병원을 찾아 동맥내재개통치료를 받은 만 18세 이상 급성 허혈성뇌졸중 환자 690명을 대상으로 임상 및 영상 자료를 수집해 동맥내재개통치료를 시행한 시점과 환자들의 3개월 후 회복 여부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CT 혈관조영술에서 뇌혈관 측부 혈류가 잘 순환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환자의 경우에는 6시간을 초과했더라도 최대 10시간 이내에 동맥내재개통치료를 받았다면 긍정적인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건을 충족한 환자의 약 50%는 정상에 가깝게 회복된 것으로 확인됐다.(그림1)

<그림1> 컴퓨터단층촬영에서(CT) 뇌혈류 측부 순환이 잘 이뤄진 환자들은(전체 환자의 85%) 증상 발생 후 10시간 안에 동맥내재개통치료를 받았을 때 50% 이상에서 정상에 가깝게 회복됐다. 연세의료원 제공


일상 생활을 어느 정도 독립적으로 어느 정도 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는 수정랭킹척도(mRS)로 환자들의 예후를 살펴보면 이를 좀 더 분명히 살펴볼 수 있다.

mRS 0은 완전히 회복된 상태, mRS 1은 경미한 증상은 있지만 일상 생활에 지장이 없는 상태, mRS2는 이전과 똑같은 일상 생활을 유지하는 아니지만 보조적인 도움이 필요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mRS2까지 예후가 좋은 것으로 분류한다.

측부 혈류 순환이 잘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관찰된 환자군 중에서는 #3시간 이내에 동맥내재개통치료를 받은 경우 △mRS 0 43.4%, △mRS 1 22.6%, △mRS 3 11.3%, #3시간 초과 6시간 이내에 받은 경우 △mRS 0 21.3%, △mRS 1 21.9%, △mRS 2 21.6%, #6시간 초과 최대 10시간 이내에 동맥내재개통치료를 받은 환자의 경우 △mRS 0 15.8%, △mRS 1 25.4%, △mRS 2 19.3%으로 각각 분석됐다. 이 환자군에서도 10시간 이후에는 동맥내재개통치료가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못하는 것으로 관찰됐다.

반면 뇌혈관 측부 혈류 순환이 좋지 못한 환자들의 경우에는 증상 발생 후 6시간 이후에 동맥내재개통치료를 받은 경우는 물론이고 3시간만 초과해도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그림2)







<그림2> 뇌혈관 측부 순환이 잘 이뤄진 환자들의 동맥내재개통치료 예후(위)와 그렇지 않은 환자들의 동맥내재개통치료 예후(아래). 연세의료원 제공


급성허혈성뇌졸중 환자의 대부분이 뇌혈관 측부 혈류의 순환이 잘 이뤄지는 경우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로 병원에 도착한 시간이 다소 늦더라도 동맥내재개통치료를 받고 회복하는 환자가 대거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 대상 환자 중 약 85%는 뇌혈관 측부 순환이 잘 발달된 환자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병문 교수는 “이 기준을 적용할 경우 동맥내재개통치료를 받을 수 있는 환자가 2배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 기대한다”면서 “이번 연구를 통해 증상 발생 후 다소 시간이 흘러 병원에 도착한 환자라도 동맥내재개통치료를 받고 회복 가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원의 국민건강임상연구사업단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 연구결과는 신경학-신경외과-정신의학 저널 ‘JNNP’ 최근호에 실렸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