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간 무역전쟁으로 미국의 대중(對中) 수입이 10% 감소하면 한국의 대중 수출은 최대 282억 달러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한 대로 중국산 수입품의 10%에 관세를 부과해 수입액이 그만큼 준다고 가정할 경우 한국의 대중 수출액은 19.9%(282억600만 달러) 줄어든다고 26일 분석했다. 이는 지난해 한국의 총 수출액(5737억 달러)의 4.9%에 해당한다.
연구원은 세계산업연관표와 한국, 중국, 미국 간 무역 통계를 활용해 한국의 대중 수출 영향을 추산했다. 미국과 중국이 공언한 대로 상호 관세 부과 조치가 현실화돼 해당 품목의 교역이 모두 중단되는 최악의 상황을 상정했다. 이 경우 한국의 대중 수출액은 전기장비, IT, 유화를 중심으로 크게 줄었다. 전기장비가 가장 많은 109억2000만 달러의 수출이 줄었고 이어 IT(56억 달러) 유화(35억2000만 달러) 기계(27억2000만 달러) 경공업(23억6000만 달러) 순이었다. 감소율로 봤을 때는 전기장비(-21.8%) 기계(-21.8%) IT(-21.5%) 기타운송조선(-21.1%) 금속철강(-20.3%) 순으로 피해가 컸다.
반면 한국의 대미(對美) 수출에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예측됐다. 중국의 미국에 대한 수입 보복관세 규모(30억 달러)를 가정하면 한국의 대미 수출 감소액은 1억 달러 미만에 그쳤다.
이 같은 상반된 전망은 한국의 두 나라에 대한 중간재 수출 비중 차이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수출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49.4%였으나 대중 수출에서 중간재 비중은 78.9%였다. 중국의 대미 수출액(5506억 달러)이 미국의 대중 수출액(1304억 달러)을 크게 넘어섰고, 두 나라 관세 부과 규모가 차이를 보인 것도 영향을 미쳤다.
연구원은 “선제적 대응 체계를 가동해 시나리오별 대응책을 마련하고, 무역전쟁 발발 시 대중 수출 침체 극복 및 대미 수출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