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사흘간 경기도 안산 서울예술대학교를 조사한다. 미투(#MeToo·나도 당했다) 운동 참여학생 협박, 입학전형료·국고지원금 부당 집행, 총장 친인척 부당 채용 등 그동안 제기된 여러 의혹을 들여다보기로 했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7명 안팎으로 조사단을 꾸려 27일부터 29일까지 서울예대를 조사한다고 26일 밝혔다. 교육부 관계자는 “대학 운영에 대한 문제 제기가 계속되면서 학생들의 총장 퇴진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조속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예대에서는 학생 A씨가 B교수에게 성추행을 당했다고 주장하자 B교수가 오히려 A씨를 협박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A씨는 “B교수로부터 ‘인생을 망쳐놓겠다’ 등의 협박을 받았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사단은 대학 측이 성범죄 신고를 받아 적절하게 처리했는지 들여다볼 방침이다. 또한 미투 운동과 관련해 교원 인사조치 사항과 피해자 보호 문제 등도 확인한다.
입학전형료와 국고지원금 부당 집행 의혹, 친인척 특혜 채용 의혹도 조사 대상이다. 이 대학은 수험생들에게 걷은 입학전형료가 남았는데도 학생에게 돌려주지 않고 총장·부총장 등이 나눠가졌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총장 등이 국고지원금인 대학 특성화 사업비로 교내 조명과 장식품 등을 사들이고 해외출장비용 일부를 교비로 집행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총장의 친인척들이 대학의 주요 보직을 꿰차고 있고 교직원들에게 친일 의혹을 받는 대학 설립자(현 총장의 부친)를 참배토록 강요했다는 의혹도 제기된 상태다. 서울예대 학생과 교수들은 총장 일가의 족벌 경영과 부패 등을 이유로 퇴진운동을 하고 있다. 김영곤 교육부 직업교육정책관은 “철저히 조사해 위법·부당한 사실이 드러나면 관계 법령에 따라 엄중하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삽화=전진이 기자